댓글: [인터뷰]한국마사회 양영진 말보건원장 2부 `말보건원과 말 수의사` /interview/21166 소통하는 수의사 신문 데일리벳 Fri, 27 Jun 2014 16:26:39 +0000 hourly 1 https://wordpress.org/?v=6.4.5 글쓴이: 식용말 /interview/21166#comment-3475 Fri, 27 Jun 2014 16:26:39 +0000 http://www.dailyvet.co.kr/?p=21166#comment-3475 관련 이슈가 이제 터지지 않을까 싶은데요. 진도개 명견화 사업처럼 낮은 등급을 받은 개들이 식용으로 흘러가는 것 처럼 말육성정책도 그리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미 제주도에서는 말고기와 관련된 식당들이 꽤 있는 것 같은데 이게 전국으로 확대되진 않겠죠?

]]>
글쓴이: 동동이 /interview/21166#comment-3473 Fri, 27 Jun 2014 08:16:26 +0000 http://www.dailyvet.co.kr/?p=21166#comment-3473 나도 수의사의 응답.

솔직하게 말고기 누가 먹나요?

]]>
글쓴이: dvm /interview/21166#comment-2567 Wed, 19 Mar 2014 08:36:56 +0000 http://www.dailyvet.co.kr/?p=21166#comment-2567 나도 수의사의 응답.

저도 같은 생각이에요..말산업육성 안에 말고기산업 육성도 포함될까봐 걱정입니다..

]]>
글쓴이: 나도 수의사 /interview/21166#comment-2564 Wed, 19 Mar 2014 04:58:18 +0000 http://www.dailyvet.co.kr/?p=21166#comment-2564 제 의견일 뿐이지만 말산업이라..
식용말산업육성만 아니면 좋겠다는 바램이네요..

]]>
글쓴이: 말쟁이 /interview/21166#comment-2551 Thu, 13 Mar 2014 09:59:19 +0000 http://www.dailyvet.co.kr/?p=21166#comment-2551 1편에이어 좋은 인터뷰 잘 봤습니다.
오랜경험을 바탕으로한 아주 현실적이고 유익한 내용이네요.
그런데 지난번과 같이 교육 문제는 대학쪽이 중심이 되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수의과대학은 수의학 교육을 위해 존재합니다.
지적하신데로 수의과대학에서 말임상교육을 실시하면 돈은 더 들겁니다.
오랜 경험이 있는 마사회에서 진행하면 훨씬 편하게 즉각적인 결과를 얻을 가능성이 큰것또한 틀림없는 사실입니다.
그러나, 각각의 기관은 태어난 목적이 다르고, 커나가야할 방향이 분명히 다릅니다.
당장 편한길만을 택하다보면 장기적으로는 양쪽 기관 모두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거라고 생각합니다.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대학에서 말 및 산업동물 교육에 보다 관심을 기울여야 할것입니다.
오랜 경험과 기반을 가진 마사회에서 대학의 말 임상교육이 기반을 잡을수 있도록 지원해 준다면 좋지 않을까요?
대학이 말 임상교육 기반을 잡아가면 마사회는 보다 준비된 말 임상 수의사를 얻을수 있겠지요.
또한 지금도 힘들게 일하시는 마사회 수의사분들의 부담을 조금이나마 줄일수 있지 않을까요?
이것이 서로 윈윈하는 방법이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눈 앞에 산이 높다고 돌아만 가려고 하면 산정상의 장관은 결코 볼수 없다”

]]>
글쓴이: 누구든 /interview/21166#comment-2545 Wed, 12 Mar 2014 13:41:06 +0000 http://www.dailyvet.co.kr/?p=21166#comment-2545 말산업 진흥? 좁은 땅덩이에 어울리진 않은듯.식용말 양성한다는 얘기는 안나왔으면 좋겠네요.

]]>
글쓴이: DVM /interview/21166#comment-2544 Wed, 12 Mar 2014 12:44:23 +0000 http://www.dailyvet.co.kr/?p=21166#comment-2544 좋은 인터뷰 잘봤습니다. 2편의 인터뷰를 통해 마사회 말보건원과 국내 말임상 시장에 대한 공부를 제대로 한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