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사설] 유기동물 문제를 동물병원 진료비 탓으로 돌리지 말라 /news/132642 소통하는 수의사 신문 데일리벳 Wed, 04 Jan 2023 01:39:29 +0000 hourly 1 https://wordpress.org/?v=6.4.5 글쓴이: 훠훠 /news/132642#comment-75890 Wed, 04 Jan 2023 01:39:29 +0000 http://www.dailyvet.co.kr/?p=132642#comment-75890 에휴의 응답.

맞슘뮈돠. 저 종합소득세 0원(=국세청 왈 : 너는 가진것도 없고 너무 못버니까 넌 세금내지마라)인데 후배들은 개원만 하면 월천월천거리고 있쥐 않슘뮈콰아?
그 월천이란 말이 생겨난 시대가 히딩크가 축구국대 감독하던 시절입니다.
2억~3억으로 서울에 집 샬슈 있었던 그 시절에, 이미 슈많은 동물병원 원좡뉨들이
이씹쌰쉬도 없던 시졀에 “종합동물병원” 차려셔, 직원 월급 샴쉽만원 주쉬면셔 월천 버셨슘뮈돠.
지금 서울 아파트가 얼마고, 최저시급이 얼마일꽈요오?
그럼, 편돌이가 월급 250을 가져가는 요즘 쉬대에 월천이라면 그게 잘버는 것일까요 못버는 것일까요?
전문직중에 월천 벌면 의치한은 병원 접슘뮈돠.
홍셕쳔이 그러쥐 않았슘뮈콰아?
“사업은 월급만큼 벌려고 하는게 아니다. 사업은 퇴직금도 없고 뒤로 빠져나가는 돈도 상당하다. 몇배를 벌어도 월급쟁이만큼 버는거다. 사업해서 월급의 몇배 이상 벌지 못하면 그만둬라.”
의치한+대형약국 vs 소형약국/수/안경사/세무사/관세사/법무사/노무사 등의 제일 큰 차이는
월천 벌면 접는다 vs 월천 벌면 대박이다
이 차이임뮈돠
그런데 가암~히 월천벌면 대박이라는 슈의샤가 전문직이라고 칭해셔야 되겠슘뮈콰?
어디 감히 브실골 광물따리가 다이아, 그랜드마스터랑 비빌려고 함뮈콰?
롤 옵치 할때도 같이 팀도 안먹는 레벨차이 아님뮈콰?

저는 빚이 샴억임뮈돠.
이러다가 원금은 못갚고 한달에 내는 대출이자만 월천 되겠슘뮈돠.
훠훠.

]]>
글쓴이: 자료 /news/132642#comment-75889 Wed, 04 Jan 2023 01:25:05 +0000 http://www.dailyvet.co.kr/?p=132642#comment-75889 에휴의 응답.

그건니들도 똑같음…
자료 보여줘도 인정하지 않는건 수의사도 마찬가지임. 계속 개업 평균 월천이라고 말함. 한국인 다 똑같음

]]>
글쓴이: 에휴 /news/132642#comment-75887 Wed, 04 Jan 2023 00:40:19 +0000 http://www.dailyvet.co.kr/?p=132642#comment-75887 한국 동물병원비가 저렴한 건 자료를 보여줘도 인정하질 않고, 동물 보험료는 한 푼도 안 내는 건 생각도 못하고 (혹은 뻔히 알면서) 진료비 비싸다고 수의사 욕하고 투덜대는 거야 하루 이틀 일도 아니고 저 본인도 어느 정도는 이해하지만, 이건 정말 말도 안 되는 걸로 건수를 잡아서 억지부리네요ㅋㅋㅋ

실제로는 유기동물 제일 많이 떠맡는 것도 수의사고 제일 많이 봉사하는 것도 수의사고 유기동물 진료비 안 깎아주는 수의사는 드문 게 현실인데.

]]>
글쓴이: Unusual /news/132642#comment-53297 Sun, 21 Jun 2020 02:39:22 +0000 http://www.dailyvet.co.kr/?p=132642#comment-53297 수의사회 차원에서 입법처에 항의해주십시오

]]>
글쓴이: ㅇㅇ /news/132642#comment-53283 Fri, 19 Jun 2020 05:01:35 +0000 http://www.dailyvet.co.kr/?p=132642#comment-53283 거지새끼들 돈 없으면 쳐 키우지를 마라. 하여간 문좌앙같은 새끼 대통령 되니까 피해의식 찌든 하층민 새끼들이 돈없으면 무조건 탓탓탓 ㅉㅉ

]]>
글쓴이: 저열함 /news/132642#comment-53271 Thu, 18 Jun 2020 07:18:40 +0000 http://www.dailyvet.co.kr/?p=132642#comment-53271 동물병원비가 비싸서 동물을 버린다고 생각 하는 사람들의 잠재의식은

비용이 많이 나가면 그 비용이 의료비이건, 사료비이건, 기타 관리비이건 돈이 많이 들면 버리겠다는 인식이 깔려있는 사람이다.

즉, 동물을 키워서는 안되는 사람들이 멋으로, 장식으로 동물을 키우고 있기 때문에 자신의 목적과 유지관리비가 높으면 효용가치 비교를 통해 버리겠다는 인식이 있는것이다.

저열하고 천박한 사람들이 동물을 키우고, 동물관련 정책을 입안하는게 가장 문제다.

나는 아니다라고 말하지 말라.

치료비가 높으면 나는 버릴거라는 인식이 있기 때문에 동물병원비가 높으면 다른 사람들도 버릴거라는 일반화를 하는것이다.

부끄러운줄 알아라.

]]>
글쓴이: 아님말고 /news/132642#comment-53270 Thu, 18 Jun 2020 06:24:05 +0000 http://www.dailyvet.co.kr/?p=132642#comment-53270 얘를 버려야 하는데 버리는 이유를 스스로한테서 찾아서는 안돼니까 남한테서 찾는 거지요.
웃긴 현실.

]]>
글쓴이: 세아 /news/132642#comment-53257 Wed, 17 Jun 2020 08:27:43 +0000 http://www.dailyvet.co.kr/?p=132642#comment-53257 반려동물도 의료보험 시행하는 방안이 좋지 않을까요?.아픈 아이가 버려지는게 더 많은것 같아요
물론, 책임감 있는 사람들은 자신이 굶어도 식구로 맞이한 아이를 살립니다 외국처럼 분양업체의 선별
및 분양받는 이들의 엄격한 자격 검토및 인식표를 법으로 규정하는게 제일 시급 합니다만 국회는 세금 뜯기에만 혈안이 되어있네요. 병원 표준수가제에 동의합니다.

]]>
글쓴이: 내장칩 등록제와 자격증제 필요 /news/132642#comment-53252 Wed, 17 Jun 2020 04:17:08 +0000 http://www.dailyvet.co.kr/?p=132642#comment-53252 1) 반려동물을 분양 받기 전에 자격증 취득을 필수로 이수
2) 동물복지 차원에서 최소 기준(교육 및 거주 공간, 산책 가능한 생활양식등) 미충족시 신규 분양 금지
3) 분양받은 동물 내장칩 등록 100% 시행
이 세가지 하면 될것을 왜 보험사 편들어주고 수의사 탓하고, 유기동물 보호소에 돈을 쓰는지 의문임

]]>
글쓴이: 울트라너구리 /news/132642#comment-53248 Tue, 16 Jun 2020 13:25:08 +0000 http://www.dailyvet.co.kr/?p=132642#comment-53248 참 옳은 말씀입니다
저 이야기를 들으면서 아닌 거 같은데 뭐가 좀 이상하다 느꼈는데

오늘 에서야 진실을 알게 되었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