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고양이에 감염된 고병원성 AI, 철새에서 유래했다 /news/academy/202976 소통하는 수의사 신문 데일리벳 Sat, 20 Jan 2024 00:47:17 +0000 hourly 1 https://wordpress.org/?v=6.4.5 글쓴이: 역학 /news/academy/202976#comment-88946 Sat, 20 Jan 2024 00:47:17 +0000 /?p=202976#comment-88946 ㅎㅇ의 응답.

오리고기사료 에 들어있는 바이러스는 분석에 안들어있으니 ㅎㅎㅎ

]]>
글쓴이: 역학조사 /news/academy/202976#comment-88944 Sat, 20 Jan 2024 00:43:49 +0000 /?p=202976#comment-88944 기자는 뭐를 쓴거지??의 응답.

감염된 오리고기 유전자는 정부에서 공개 안한듯 하네요. 분석에 빠져있는듯

]]>
글쓴이: ?? /news/academy/202976#comment-88894 Fri, 19 Jan 2024 08:35:32 +0000 /?p=202976#comment-88894 기자는 뭐를 쓴거지??의 응답.

사람의 조류인플루엔자 감염 사례는 이미 있는데 무슨 뒷북을..

]]>
글쓴이: 기자는 뭐를 쓴거지? /news/academy/202976#comment-88891 Fri, 19 Jan 2024 07:59:23 +0000 /?p=202976#comment-88891 이기자가 쓴 기사에 의하면 가금류 농가에 사형선고네요 가금류 사육 하시는 분들 손해는?

]]>
글쓴이: 기자는 뭐를 쓴거지?? /news/academy/202976#comment-88890 Fri, 19 Jan 2024 07:56:54 +0000 /?p=202976#comment-88890 감염된 오리 먹였다면서요
철새에 감염된 오리 먹고 ㅡ 전체 먹였을 터이니 40마리 정도였을거고
이겨낸 2마리가 대단.. 음식물로 감염 되었다는 이야기잖나요
기사 내용에 따르면 인간도 감염된 조류 먹으면 걸릴수 있다는 이야기

]]>
글쓴이: 해마의시냅스 /news/academy/202976#comment-88864 Fri, 19 Jan 2024 01:17:05 +0000 /?p=202976#comment-88864 위에 분 말씀도 일리가 있습니다만, 보호소에서 머문 기간이 길다고 한다면 (일반적인 바이러스 잠복기 14일보다 길게 있었을 경우) 보호소 내에서 바이러스에 노출된 경로를 의심하는 것이 맞다고 봅니다. AI 로 진단된 고양이들이 언제 입소했는지를 확인해 보아야 확실할 것 같은데 정보가 제한적이니 추측할 수 밖엔 없는 것 같습니다.

]]>
글쓴이: ㅎㅇ /news/academy/202976#comment-88851 Thu, 18 Jan 2024 13:34:30 +0000 /?p=202976#comment-88851 기사 추정이 앞뒤가 안 맞죠.
원래 길고양이였다 = 철새 등 야생 조류를 포식할 기회가 많다.
관악구 사례? 오리고기 사료라면 야생조류 유래가 아닐 가능성이 높죠. 당장 용산구 사례를 전혀 설명 못하구요.

서울, 한강에 도래하는 철새도 적지 않습니다.
당연히 길고양이들이 철새 포식한 경로를 의심하는 게 우선이라고 봅니다.
가능성 낮은 사료 유래를 의심하는 것 보다는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