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청주동물원 수컷호랑이 `호붐`이가 중성화수술을 받은 이유는 /news/animalwelfare/135557 소통하는 수의사 신문 데일리벳 Tue, 06 Jul 2021 06:36:24 +0000 hourly 1 https://wordpress.org/?v=6.4.5 글쓴이: 아니 참 /news/animalwelfare/135557#comment-55261 Wed, 26 Aug 2020 11:18:10 +0000 /?p=135557#comment-55261 오히려 소속작성한게 없었으면 동물원에 소속된분인줄 알았을 것 같은데.. 병원에 대한얘기는 없고 소속을 말한건데.. 불편하다면 스킵하세여~~~

]]>
글쓴이: 잘하긴 뭘 잘해 /news/animalwelfare/135557#comment-55200 Tue, 25 Aug 2020 01:14:33 +0000 /?p=135557#comment-55200 잘하긴 뭘 잘해의 응답.

저도 문제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대한수의사회 입장은 다른가봐요. 네이버 익스퍼트 참여자는 공문돌려서 협회에서 회원을 고발조치하겠다고 하고, 협회 임원과 친한 업체가 상업적으로 운영하는 수의사 무료 상담 서비스 참여자는 모르는척 봐주길래 혹시 저 분들도 비슷한 일을 당하면 어떡하지 걱정돼서 그렇습니다. 똑같은 상담 했는데 누구는 회비만 낸 개인이라서 고발당하고 누구는 협회 임원이랑 친해서 돈 벌면 얼마나 억울해요?

네이버 상담이요? 암요. 하면 안돼죠. 네이버 카페에서는 보호자들끼리 특화진료로 이름난 수의사한테 돈 주고 초청 강연 열고 약물처방에 주사방법까지 배워 공유하잖아요. 그런데 지식인에서 이러저러하니 동물병원가서 검사받으세요 하고 단순상담하고 “”이름만 딸랑써놓을 수 없으니”” 병원 이름 써 놓았다간 수의사회에서 불법 의료유인행위로 공문받고 보호자들은 과잉검사한다고 비난할텐데. 남좋은일 하면 안 돼죠.

네이버 단순상담을 했다는 이유로 동네 병원이 협회에게 협박공문받고 고발조치당해야 한다면 다른 온라인 무료 상담 서비스들은 왜 그냥 내버려둡니까? 이런 기준이라면 각종 자원봉사자, 협회 행사, 언론지면에도 같은 기준이 적용되어야 하는 거 아닐까요?

네이버냐 카카오냐 데일리벳이냐가 중요한 게 아닙니다. 불법 의료유인행위의 기준이 뭔지에 대해서 묻고싶은겁니다. 대수가 네이버 뿐만아니라 다른 온라인 동물병원 무료상담 서비스 참여자들도 공문돌리고 고발조치할때까지 계속 문제제기 할겁니다.

]]>
글쓴이: ㅎㅎㅎ /news/animalwelfare/135557#comment-55199 Tue, 25 Aug 2020 01:12:03 +0000 /?p=135557#comment-55199 잘하긴 뭘 잘해의 응답.

네이버 상담코너 엄청 하고 싶은 사람이네

]]>
글쓴이: 아니 /news/animalwelfare/135557#comment-55198 Tue, 25 Aug 2020 01:08:06 +0000 /?p=135557#comment-55198 잘하긴 뭘 잘해의 응답.

저기 이름 옆에 소속쓴거가지고 그러시는건가요? 이름만 딸랑써놓으면 뭐하는 사람인지 알 수 없잖아요. 소속 쓰는게 대체 무슨 문제인지…

]]>
글쓴이: 잘하긴 뭘 잘해 /news/animalwelfare/135557#comment-55197 Tue, 25 Aug 2020 00:25:38 +0000 /?p=135557#comment-55197 좋은 기사에 특정 동물병원 이름 쓰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언론기사에 대가성 여부를 표시하지 않고 특정 병원에 대한 홍보 효과가 있는 기사를 쓰면 안되지 않을까요?
대한수의사회의 포괄적 법조문 해석에 따르자면 이런 것도 불법 의료유인행위로 해석될 소지가 있습니다. 저 수의사분들 무료로 좋은일 하시고 협회에 회비 다 냈을텐데 이런 걸로 공문받고 고발당하면 어떡하지 걱정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