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유기동물·마당개 전염병, 1위 심장사상충 2위 지알디아 /news/animalwelfare/175783 소통하는 수의사 신문 데일리벳 Fri, 02 Dec 2022 10:34:51 +0000 hourly 1 https://wordpress.org/?v=6.4.5 글쓴이: reference좀 /news/animalwelfare/175783#comment-75045 Fri, 02 Dec 2022 10:34:51 +0000 /?p=175783#comment-75045 유기견의 응답.

심장사상충 예방을 포기하고 치료에 집중한다고? 기회비용이 얼마나 엄청난건지 모르는걸까.. 그걸 대안이라고 이야기한다니 놀랍네요. 그렇게 주장하는 reference 라도 있나요?

]]>
글쓴이: ㅇ /news/animalwelfare/175783#comment-74863 Sat, 26 Nov 2022 04:50:51 +0000 /?p=175783#comment-74863 유기견의 응답.

치료해아된다고얘길했는데 뭔 대안을 얘기안했대? 첫덋글본건맞음? OO이야?

]]>
글쓴이: ㅇㅇ아 /news/animalwelfare/175783#comment-74862 Sat, 26 Nov 2022 00:09:08 +0000 /?p=175783#comment-74862 유기견의 응답.

당연히 알죠. 키트 음성이고 도말 안 나와도 당연히 감연 가능성 있겠죠. 심장사상충 감염 특징상 진단이 어렵고 부검 말고는 확진법이 없습니다.

그러면 감염된 애들이 널린 보호소에서는 그러면 어떻게 해야한다는 의미일까요? 무작정 비판만 하지 말고 대안을 제시하면서 비판을 하세요. 그러면 보호소는 그냥 심장사상충 걸리든 말든 진단할 필요도 없고, 예방할 필요도 없고 다 놔두라는 의민가요? 뭘 말하고 싶으신지를 모르겠네요. 그러니까 수의사 맞냐고 사람들이 물어보는 거잖아요

]]>
글쓴이: ㅇㅇ /news/animalwelfare/175783#comment-74846 Fri, 25 Nov 2022 05:28:28 +0000 /?p=175783#comment-74846 유기견의 응답.

당신이야말로 수의사 맞는지? 감염된 개에게 예방약 처치하면 OO되는건 아시죠? 보호소에서 감염/비감염 구분해서 비감염인애들 예방약 처치하자? 키트음성이라고 도말에서 안나온다고 영상검사 임상증상 특이사항 없다고해서 비감염이라고 백퍼 확진할수있다생각하시나? 일반 필드임상에선 비감염이라 해도되는데 감염된애들이 널린 보호소에서 위음성인 애들이 얼마나 많은데

]]>
글쓴이: 유기견 /news/animalwelfare/175783#comment-74794 Tue, 22 Nov 2022 21:40:33 +0000 /?p=175783#comment-74794 보호소 봉사활동 가봤냐고요? 유기견들 매일 보고있는 사람입니다.
수의관련 유일한 언론으로서 데일리벳이 기사를 작성하실때 좋은말만 쓰려고하지말고 좋은말이지만 철저히 수의학적으로 검증된 이야기를 써주셨으면 하는 바람으로 글남긴겁니다.

이해가 안된다고 하신분들에게 당부드리는데 모르는 분야에 대해서 더 알기전에는 타인을 폄하하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
글쓴이: 학범이형 /news/animalwelfare/175783#comment-74793 Tue, 22 Nov 2022 16:41:37 +0000 /?p=175783#comment-74793 참가자의 응답.

“꾸준한 예방접종이 앞으로도 중요할 것 같다”고 설명했다. 동물의료봉사활동 때 수의사들의 백신 접종으로 파보, 디스템퍼 감염을 많이 예방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동물의료봉사활동 때 백신 접종으로 예방할 수 있었다는 얘기는 학범이형이 저 발표에 대해 코멘트를 단거네요 보니까

보호소에서 백신 접종해봤자 어차피 보호소에 어래 있지도 않는다?
그러니까 보호소에 있는 얘들이 파보 디스템퍼에 안 걸려있는 것과 상관 없다는 거죠?
백신 접종은 그 개체만을 위한거라기 보다 집단을 위한 겁니다. 단순히 평균 보호소 머무는 기간만 가지고 의미 없다고 할 수가 없어요
평균보다 오래 머무는 개체도 있을거고 그건 케바케겠죠. 그리고 사설 보호소 잖아요. 평균 보호소 머무는 기간이 저 사설 보호소들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는 근거 있나요
그러면 보호소에서 백신 접종하는게 불필요하다는 말인가요?

그리고 체계적인 병리검사, 사무국장님이 그렇게 말하긴 했네요.
봉사활동 가보셨나요? 그 환경에서 할 수 있는 최선의 현장 검사가 래피드 키트 정도입니다
병리검사라는 단어는 조금 애매하긴 하지만 갑자기 다른 얘기를 끌고 오시네요

학범이형 서울대 수의대 출신에, 이 바닥에서 잔뼈가 굵은 분인데 쉽사리 덤비시면 안 돼요

]]>
글쓴이: 유기견 /news/animalwelfare/175783#comment-74789 Tue, 22 Nov 2022 12:58:06 +0000 /?p=175783#comment-74789 참가자의 응답.

어제 글 남긴사람입니다.

“꾸준한 예방접종이 앞으로도 중요할 것 같다”고 설명했다. 동물의료봉사활동 때 수의사들의 백신 접종으로 파보, 디스템퍼 감염을 많이 예방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이게 수의학적으로 맞는 이야기라고 생각하시는 분은 전염병학 미생물학과 예방수의학 다시 공부하시길 바랍니다.
이렇게 설명해도 모르시는 분들이 많을테니 파보 단회 백신 접종시 항체가 어느정도 생성되는지와 보호소에서 평균적인 공고기간 따져보시고요

마당개인지 들개인지 진짜 유기견인지를 구분할 필요가 있는데
보호자가 없으니 얘네들 질병 이환상태를 추측하기 위한것입니다

수의사가 맞는지 의문이라고 하는분은 그런말하기전에 본인이 수의학적으로 접근하는 수의사인지 자아성찰해보시고요

그리고 rapid kit사용이 체계적인 병리검사라는 말은 오류가 있는데 우리가 일반인도 아니고 수의사들인데 이러한 것은 짚고 넘어가야 하지않을까요?

끝으로,
이러한 시도들은 상당히 좋은일이지만 의의를 피력하는것이 잘못된것 같아 지적한것이라는 것을 알아주셨으면 합니다.

]]>
글쓴이: 수의사? /news/animalwelfare/175783#comment-74788 Tue, 22 Nov 2022 09:02:45 +0000 /?p=175783#comment-74788 유기견의 응답.

보호소에 머무는 기간에 관계 없이 당연히 예방을 해야하는 거 아닌가요? 수의사 맞으신지 모르겠네요

]]>
글쓴이: 댓글 /news/animalwelfare/175783#comment-74786 Tue, 22 Nov 2022 08:26:52 +0000 /?p=175783#comment-74786 감사합니다!

]]>
글쓴이: - /news/animalwelfare/175783#comment-74785 Tue, 22 Nov 2022 08:18:13 +0000 /?p=175783#comment-74785 기사 감사드립니다. 국내 사설보호소 현황에 대한 좋은 분석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