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수의학 A to Z] Rehabilitation : 한방과 재활 /news/college/152021 소통하는 수의사 신문 데일리벳 Sun, 03 Apr 2022 07:19:47 +0000 hourly 1 https://wordpress.org/?v=6.4.5 글쓴이: 모르면상세불명땡땡병 /news/college/152021#comment-69582 Sun, 03 Apr 2022 07:19:47 +0000 /?p=152021#comment-69582 코리안샤머니즘의 응답.

잘 모르면 일단 항생제, 항히스타민, 위 보호제, 타이레놀 때리고 시작. 바이러스 치료에도 항생제, 항히스타민, 위보호제, 타이레놀로 시작.

]]>
글쓴이: 코리안샤머니즘 /news/college/152021#comment-64482 Sat, 14 Aug 2021 09:48:03 +0000 /?p=152021#comment-64482 코리안샤머니즘의 응답.

침을 놓는 행위 자체가 생리학적 측면에서 여러 효과가 있다는 건 인체대상 연구로 밝혀진 과학적 사실임을 부정하지는 않습니다만.. 그 경혈이라는 것이 존재한다는 과학적 근거가 없습니다. 효과가 다르게 나타난다는 논문도 더러 있긴 한데 그런 논문들도 자세히 살펴보면 결국 오차범위안에서 경혈이 아닌 부위에 침을 놓은 것과 별 유의미한 차이가 나지 않는 데이터를 사용한 걸 확인할 수 있던데요. 실제 전기자극침은 ims기법에서도 쓰이는 과학적으로 타당한 방법입니다만 전통적인 방법이 아닌 현대에 와서 개량된 방법인 것이죠.. 한의학도 온고지신의 측면에서 접근하여 과거의 비합리적이고 비과학적인 부분은 배제하고 과학적인 검증과정을 통해 증명된 치료법만 사용한다면 제가 딱히 별말을 하지 않았겠지요…

]]>
글쓴이: 3321 /news/college/152021#comment-64480 Sat, 14 Aug 2021 07:18:47 +0000 /?p=152021#comment-64480 코리안샤머니즘의 응답.

한방수의학 논문 특징 : 중국산

]]>
글쓴이: 1233 /news/college/152021#comment-64474 Fri, 13 Aug 2021 17:29:20 +0000 /?p=152021#comment-64474 코리안샤머니즘의 응답.

그래서 논문을 직접 찾아보셨나요? 개들의 관절염이나 고관절이형성 치료법에 대해서 double blinded, randomized control group 스터디부터 SCI급의 다양한 논문들이 있습니다. 의구심이 들면 직접 찾아보면 되는것을 실제로 근거가 있는지 찾아보지도 않고 유사과학이네 뭐네하는게 더 웃긴거죠. 그와 별개로 재활이랑 한방수의학은 전혀 다른 방향인데 기사의 방향이 잘못됐다는 밑에 댓글에는 동의합니다.

]]>
글쓴이: Idiopathic /news/college/152021#comment-64473 Fri, 13 Aug 2021 10:35:28 +0000 /?p=152021#comment-64473 키워드는 재활인데의 응답.

맞습니다. 재활의학의 주축이 한방수의학이라고 착오가 있으면 안될 것 같습니다.

]]>
글쓴이: 키워드는 재활인데 /news/college/152021#comment-64472 Fri, 13 Aug 2021 10:27:37 +0000 /?p=152021#comment-64472 재활(rehabilitation)과 전통수의학은 엄연히 다른 분야인데 기획의 방향이 좀 잘못된 것 같네요. 국내 임상 필드에서 재활치료랍시고 한방을 많이 활용하는 추세이긴 하지만 재활=한방이라고 혼동하지 않았으면 합니다. 교수님 인터뷰는 잘 봤습니다.

]]>
글쓴이: 코리안샤머니즘 /news/college/152021#comment-64465 Fri, 13 Aug 2021 04:40:44 +0000 /?p=152021#comment-64465 인체에 적용되는 한의학도 그 과학적 근거가 거의 전무하다시피 하는데… 수의에 적용되는 건 얼마나 임상, 이론적 근거가 빈약할지 의구심부터 듭니다. 실제 예시로 들어주신 논문도 단순침구가 아니라 전기자극침이네요. 무릇 과학적인 학문이란 그 체계가 제대로 자리잡고 숱한 검증과정을 거쳐야 인정받을 수 있는 것인데 글쎄… 현재 수준은 유사과학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닌듯 합니다.

]]>
글쓴이: 익명 /news/college/152021#comment-64463 Fri, 13 Aug 2021 03:07:33 +0000 /?p=152021#comment-64463 흥미로운 내용이네요. 저 역시도 학교에서 전통수의학 강의를 듣지 못해 아쉬웠었는데, 화상강의로 연계해서 들을 수 있는 방안이 꼭 이루어지면 좋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