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수의대를 나오면 무엇을 할 줄 알아야 하나요 /news/college/22775 소통하는 수의사 신문 데일리벳 Fri, 25 Apr 2014 11:51:14 +0000 hourly 1 https://wordpress.org/?v=6.4.5 글쓴이: ㅇㅋ /news/college/22775#comment-2853 Wed, 16 Apr 2014 08:35:27 +0000 http://www.dailyvet.co.kr/?p=22775#comment-2853 닉네임도둑의 응답.

먼저.. 소동물임상만이 수의사는 아니잖습니까?^^
OIE, 네덜랜드 수의과대학이 제시한 부분은 참 기저적인 것을 명확히 짚어낸 멋진 표어라 봅니다.

1인병원을 꾸리기 위한 필수요체만을 지적해주셨습니다. 100% 공감합니다.
다만, 6년제 커리큘럼과 학생들에게 열려있는 동아리와 사회참여, 세미나 등등에 녹아들어 있는 부분이며,
현장경험과 센스와 적성이 받쳐주지 않은 상태에서 교육만으로 이룰 수는 없는 역량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저는, 여러 수의사의 역량 중 소동물임상에 필요한 말씀해주신 6가지 요체는 일선의 원장님들께서 잘 organization해주시기만 하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1번과 5번은 대학교와 시대적 특성상 많이 취약합니다만, 학생들의 needs에 따라 알게모르게 보급되고 스터디나 세미나 참석을 많이 해오고 있습니다.

Well-skilled VET을 배출하기보다는 좋은 자세를 가진 수의사를 길러내는 것이 탁상공론 같아 보여도 장기적으로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
글쓴이: 닉네임도둑 /news/college/22775#comment-2848 Wed, 16 Apr 2014 03:59:04 +0000 http://www.dailyvet.co.kr/?p=22775#comment-2848 각 과목별로 내원케이스가 많은 질병들에 대한 공통된 프로토콜 확립이 절실합니다. 거창한 의료장비에 의한 진단들보다는 1인병원 기준으로 청진기, 펜라이트, 검이경, 채혈, 혈액도말, 등 기본적인 기술과 1. 보호자 응대 및 문진하는 방법 2. 백신 3. 기생충 4. 각 과목별 다빈도질환, 카데바나 모형을 이용한 외과수술 5. 행동학 6. 수의사법, 약사법, 동물판매업과 관련된 법규(분쟁방지용)등을 가르치면 될 듯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