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우리엔, 반려동물 관절 영양제 ‘안티놀 래피드’ 독점 공급 /news/industry/213237 소통하는 수의사 신문 데일리벳 Sat, 25 May 2024 10:31:22 +0000 hourly 1 https://wordpress.org/?v=6.4.5 글쓴이: ㅇㅇ /news/industry/213237#comment-93889 Sat, 25 May 2024 10:31:22 +0000 /?p=213237#comment-93889 https://n.news.naver.com/article/005/0001698615

]]>
글쓴이: Le /news/industry/213237#comment-93757 Thu, 23 May 2024 06:03:18 +0000 /?p=213237#comment-93757 Le의 응답.

좋은 댓글감사합니다.
말씀하시는 의미는 충분히 공감합니다. 저도 대다수의 보조제들은 그렇게 설명드리긴합니다.
하지만 의약외품은 의약품보다 효과가 적다 혹은 유의미한 효과가 없다는 전제자체가 옳지 않다는 겁니다. 안티놀 관련논문을 쭉 훑어 봤는데 대부분이 논문 설계가 아쉬운건 사실이나 프론티어에 낸 논문은 나름 대조군에 블라인드도 설정하고 다른 개입도 최대한 줄인 노력은 보이네요. 수의에선 충분히 나쁘지 않은 논문처럼 보이는데요.
제 개인적인 생각엔 서로 각을 새우는 것보다 수의사들이 이런 근거에 기반한 평가로 제품을 평가해야 더 좋은 제품들도 나오고 회사들도 근거나 논문에 더 신경쓸꺼라 생각해서 주제넘게 한자 적어봅니다. 좋은하루되세요

]]>
글쓴이: 지나가던원장 /news/industry/213237#comment-93733 Thu, 23 May 2024 04:26:31 +0000 /?p=213237#comment-93733 Le의 응답.

저는 효과없다고 얘기한적없어요ㅎㅎ 효과가 적다 또는 유의미한 효과가 없다라고 얘기합니다 보호자들께 그래서 보조제에 그 돈을 투자할 가치가 적다고 생각한다고 얘기합니다 선택은 보호자님들 몫이고요 오메가는 저렴하잖아요 ㅎㅎ

]]>
글쓴이: Le /news/industry/213237#comment-93728 Thu, 23 May 2024 03:27:53 +0000 /?p=213237#comment-93728 Le의 응답.

의약외품이라고 효과가 없다는 말은 동의가 크게안되네요 ㅠ
그렇다면 오메가3도 효과가 없고 실리마린, 클로르헥시딘 등 다 효과가 없다고 말씀하시는게 맞나요?
제가 궁금한건 효과가 있다는 논문은 있는데 없다는 논문도 있는지 입니다. evidence based medicine에서 근거가 있는쪽을 믿는게 맞는거 같습니다.
그리고 효과없다는 논문을 회사에서 내진 않지만 다른곳에서는 충분히 냅니다. 연구주제로도 많이 내고요…안티놀이 다른 의약품을 대체할수있다 생각하진 않지만 근거없이 효과없다말하는것도 틀린말인것같아서 적습니다

]]>
글쓴이: 영양제이네 /news/industry/213237#comment-93727 Thu, 23 May 2024 03:26:17 +0000 /?p=213237#comment-93727 의약품이 아니고 영양제라고 표기했네요 즉 사료라는뜻이네요

]]>
글쓴이: ㅇㅇ /news/industry/213237#comment-93720 Thu, 23 May 2024 01:58:51 +0000 /?p=213237#comment-93720 Le의 응답.

효과없다는 논문을 왜 발표함? 하면 손해인데? 안하지 야 ㅋㅋ 그거아셈? 한방병원에서 한의약 효과있는거로 논문내려고 통계냈더니 효과없는거로나와서 발표안한거? 존나 유명한 사건임ㅋㅋ 연구하고나서 결과 덮었음ㅋㅋㅋ

]]>
글쓴이: 지나가던원장 /news/industry/213237#comment-93718 Thu, 23 May 2024 01:50:37 +0000 /?p=213237#comment-93718 Le의 응답.

저는 안티놀 관련 논문은 모르겠지만 상식적으로 의약품과 의약외품(보조제)은 다른 개념이니까요. 정말 효과가 있으면 약으로 등록되어서 의사의 처방을 통해 복용할 수 있는 개념인데 왜냐하면 약이라는건 효과가 좋을수록 부작용도 쎄기 때문에 오남용되면 안 되니까요. 그런데 보조제같은건 오남용되어도 문제가 되지 않는 수준일 정도로 효과가 약한 거라서 약으로 등록이 안되는 거거든요. 안티놀뿐만아니라 어떤 보조제든 저는 보호자들께 유의미한 효과없다고 말씀드리긴합니다. 그리고 논문이라는건 실험디자인을 어떻게 짜느냐에 따라 효과있는것처럼 또는 효과없는것처럼 결과를 낼 수 있습니다

]]>
글쓴이: Le /news/industry/213237#comment-93715 Thu, 23 May 2024 01:30:04 +0000 /?p=213237#comment-93715 혹시 효과없다시는분들 논문좀 제시가능할까요?? 제가아는것과달라서 방금 서치해봐도 논문상으론 6주이상 장기복용시 엔세이드와 유사개선인논문들만 보여서요…

]]>
글쓴이: 응 안사요 /news/industry/213237#comment-93642 Wed, 22 May 2024 07:01:55 +0000 /?p=213237#comment-93642 응 안사요

]]>
글쓴이: ㄴㄴ /news/industry/213237#comment-93630 Tue, 21 May 2024 23:47:37 +0000 /?p=213237#comment-93630 헤일리의 응답.

106.101 많이 모자란 친구입니다. 댓글 보시면 그냥 지나가시면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