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벳 포럼병원 대비 반려견 수 1위 ‘동작구’, ‘강남구’는 뒤에서 2등

서울디지털재단, 서울 펫 스마트라이프 발간


3
데일리벳 포럼
글자크기 설정
최대 작게
작게
보통
크게
최대 크게
데일리벳 포럼

서울디지털재단(이사장 강요식)이 2024년 3월 기준 공공데이터포털에 등록된 ‘동물등록 현황’ 데이터 57,101개를 분석해 서울시 25개 자치구별 반려데일리벳 포럼 현황을 분석한 ‘서울 펫 스마트라이프’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시에 등록된 반려견은 61.2만 마리였다. 전국 350만 마리중 17.5%에 해당하는 수치다.

등록된 반려견 수가 가장 많은 자치구는 ‘강남구(39,792마리)’였으며, 그 뒤를 송파구(38,005마리), 강서구(37,800마리)가 이었다. 반려견이 가장 적은 자치구는 중구(8,823마리)였고, 종로구(10,698마리)와 금천구(14,624마리)가 뒤에서 2~3위를 차지했다.

서울시의 ‘가구 수 대비 반려견 수’ 비율은 14.9%였다.

‘가구 수 대비 반려견 수’ 비율이 가장 높은 자치구는 용산구(19.8%)였으며, 그 뒤를 강남구(18.7%), 도봉구(17.4%)가 이었다. 비율이 가장 낮은 자치구는 관악구(11.2%)였고, 동작구(12.2%), 영등포구(12.4%)가 뒤에서 2~3위에 해당했다.

데일리벳 포럼

서울시의 동물병원 수는 총 924개였다. 강남구가 85개로 가장 많았으며, 종로구가 12개로 가장 적었다.

데일리벳 포럼병원 수 TOP3 자치구는 강남구(85개), 송파구(79개), 강동구(53개)였으며, 적은 자치구는 종로구(12개), 금천구(16개), 중구·동작구(20개)였다.

데일리벳 포럼병원 1개당 차지하는 평균 반려견 수(데일리벳 포럼병원 수 대비 반려견 등록 수 = 등록된 반려견 수/데일리벳 포럼병원 수)는 동작구가 1,055마리로 가장 많았다. 2위는 관악구(1,039마리), 3위는 금천구(914마리)였다.

‘강남구’는 평균 468마리로 24위에 그쳤다. 등록된 반려견이 25개 자치구 중 가장 많았지만, 그만큼 데일리벳 포럼병원 수도 많았기 때문이다. 강남구보다 데일리벳 포럼병원당 평균 반려견 수가 더 적은 자치구는 중구(441마리)뿐이었다.

서초구(515마리), 송파구(481마리)도 평균 반려견 수가 낮은 자치구에 속했다. 그만큼 강남 3구의 경쟁이 치열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참고로 서울시의 동물약국은 총 2,362개였고, 동물약국 1개당 등록된 반려견 수는 평균 259마리였다. 동물약국도 강남 3구에 가장 많았다(강남구 247개, 송파구 175개, 서초구 146개).

서울시에 등록된 반려견의 품종은 말티즈(19.8%), 푸들(14.1%), 믹스견(13.3%), 포메라니안(9.4%), 시츄(5.8%) 순으로 많았고, ‘반려데일리벳 포럼 이름’ 데이터를 제공하는 4개 자치구(동대문, 마포, 양천, 송파) 기준으로 동물 이름은 ‘코코’(1.7%), ‘보리’(1.3%), ‘초코’(1.2%)가 많았다.

서울디지털재단 강요식 이사장은 “공공데이터는 서울시의 현주소를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좋은 근거자료”라며 “재단은 이번 보고서에 이어 앞으로도 시민이 쉽고 빠르게 서울시를 파악할 수 있도록 데이터 분석 결과를 시각화한 <데이터 이슈 보고서를 지속 발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데일리벳 포럼병원 대비 반려견 수 1위 ‘동작구’, ‘강남구’는 뒤에서 2등

Loading...
파일 업로드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