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인터뷰] `수의사법 개정·AI 방역정책` 박정훈 방역정책국장 /news/policy/150283 소통하는 수의사 신문 데일리벳 Tue, 31 May 2022 10:59:10 +0000 hourly 1 https://wordpress.org/?v=6.4.5 글쓴이: ㄹㄹ /news/policy/150283#comment-70764 Tue, 31 May 2022 10:59:10 +0000 /?p=150283#comment-70764 익명의 응답.

바보 녀석의 비판을 받는 사람은 아마도 잘 하고 있다는 반증.

]]>
글쓴이: 앵무새 /news/policy/150283#comment-63525 Mon, 12 Jul 2021 05:06:06 +0000 /?p=150283#comment-63525 그냥 정책 취지자체를 알려주는 인터뷰인가요?
그거말고, 정부에서 바라보는 정책관련 종사자에 대한 입장은 전혀없어요?
“하지만 반려동물 소유자는 동물병원의 진료 항목과 진료비를 사전에 알기 어렵다. 과잉진료, 진료비 과다청구 등의 불만이 발생하고 있다.”
전 항상 여기 과잉진료 및 진료비 과다청구가 어떤 기준에서 어떻게 조사되었는지 알고싶습니다.
무엇을 보고 판단하고, 정량적인 평가는 가능한거에요? 기준을 만들어야 정량적 평가가 되는데, 기준만들자는 논의는 쌩까고, 그냥 일단 과잉진료다?

]]>
글쓴이: 훠훠 /news/policy/150283#comment-63505 Sat, 10 Jul 2021 04:46:42 +0000 /?p=150283#comment-63505 ?의 응답.

방역은 슈의샤가 해야하는궤 귀본이쥐요!
구럼 어촌계장 하던 샤람이 과학기슐부쟝관하면 됨뮈콰?
아기에 대해셔 쟐 알면, 맘카풰 회쟝이 보건복쥐부 쟝관 하면 됨뮈콰?
뭘 당연한걸 이렇퀘 셜명하궤 만듬뮈콰?
물론, 공무원 하는 슈의샤들 슈둔 보면 답답하쥐요오오.
그런뒈, 그 슈둔도 안되는 농업직들한테 맡기는건 믿을만함뮈콰?
그리고 반려동물진료비 문줴를 왜 방역정책국장이 함뮈콰?
반려동물을 쇼쇄끼 돼지쇄끼 진료비처럼 다루니까 이딴 괴상한 법이 나오는검뮈돠.
이제 슈의샤들은 견적 뽑다 퇴근하게 섕겼슘뮈돠 훠훠
물론 견적만 실컷 뽑아쥬고 진료는 어디 느그펫 같은데셔 받고 강아쥐 죽었다며 쳥와대 쳥원이나 올리겠쥐요오. 요즘도 느그펫에셔 진료받고 쥭어셔 인스타그램에 도와주셰요! 살견마원쟝 병원 폐엽시켜주셰요! 이런 글 종종 올리던뒈, 어느병워셔 진료받았나 샬펴보면 쌰게 하기로 유명한 병원에셔 했더군요. 이졔 그런 샤례가 많이쥐겠쥐요 훠훠
부동샨 잡겠다며 부동샨 3법 만들었지만 셰입자와 집주인 갈라취기해서 멱샬잡고 쌰우게 만들고, 집값은 더욱 올랐쥐요.
이줴 샤전에 고지안하면 비용을 못받는다 하니, 다들 비솨게 부를검뮈돠.
져도 중셩화 예샹비용은 폐사까지 고려해셔 2쳔만원으로 졍했슘뮈돠.
CT MRI 쵸음파, 엑슈레이, 혈검 17종 풀, 췌장염, 항췌가검샤, 쿠싱검사 proBNP, CPR(fSAA), 응고계검샤 등등 모두 검샤해셔 하나라도 나오면 슈슐 안하도록 정했슘뮈돠.
훠훠 반값쥔료비가 아니롸 니 연봉의 반값이 쥔료비로 나갈검뮈돠 훠훠훠

]]>
글쓴이: ㅇㅇ /news/policy/150283#comment-63503 Fri, 09 Jul 2021 16:00:02 +0000 /?p=150283#comment-63503 방역정책국장을 수의사가 해야되는건 맞음. 그런데 생각해보면 방역+정책을 이끄는 국장이기 때문에 방역분야 전문가이면서 동시에 행정가로서도 유능해야됨. 정은경 청장도 그냥 의사라서 된게 아니라 예방의학 박사출신에 질본짬밥을 수십년 먹은 사람이라서 의사가 소수인 보건행정조직을 이끄는게 가능한것.

그런데 수의직은? 연구 위생이면 모를까 솔직히 예방의학에 정통한 사람이 없을뿐더러 관료로서 유능한 행정가인 사람도 딱히… 큰 틀에서 놓고 보면 이도저도 아닌 수의직보다는 그냥 똘똘한 행정직 앉혀놓고 전문적인건 교수들한테 자문받는게 현실적인 그림일수도 있음. 이게 좋다는게 아니라 현실이 그렇다는 얘기.

수의사들이 할 일은 아 왜 고위직은 수의사 안시켜줘 뺴액!!!도 좋지만 동시에 누가봐도 납득가능한 고위직 후보군으로 내세울만한인물을 키우는 거임. 현실은? 비인기과목 하면 주변에서 집에 돈좀있냐고 물어보고, 공직에 들어가면 루저 수의사냥 멸시함. 그러니까 이렇게 되지. 맨날 기초과학 육성하자고 말만 하고 노벨상 수상자는 없는 이유랑 비슷함.

]]>
글쓴이: 어디..? /news/policy/150283#comment-63500 Fri, 09 Jul 2021 14:04:04 +0000 /?p=150283#comment-63500 ㅇㅇ의 응답.

전문가가 있어야 쓰죠… 수십년 공무원하고도 저모양이면 능력이 없는거에요… 그 사람들은 능력있는 수의사후배를 올리려고 하지 않지요..

그러니까 비수의사가 할수밖에…

]]>
글쓴이: ㅇㅇ /news/policy/150283#comment-63499 Fri, 09 Jul 2021 13:56:34 +0000 /?p=150283#comment-63499 ?의 응답.

왜 수의사가 해야됨??
핵심은 방역 전문가가 해야하는게 맞고,
공무원하는 수의사중엔 전문가가 없다는게 팩트…

주위 공방수들한테만 물어봐도 답나옴… 안타깝지만 현실..

]]>
글쓴이: asdf /news/policy/150283#comment-63497 Fri, 09 Jul 2021 10:25:57 +0000 /?p=150283#comment-63497 동물 전염병 방역 조직의 장이 수의사가 아니라고?

나라가 미쳐돌아가는구나

]]>
글쓴이: 노놉 /news/policy/150283#comment-63493 Fri, 09 Jul 2021 06:35:33 +0000 /?p=150283#comment-63493 ?의 응답.

저 자리에 갈 수의사인 부이사관이 없었다는게 팩트요…ㅜㅜ

]]>
글쓴이: 이해가 안되네요.. /news/policy/150283#comment-63491 Fri, 09 Jul 2021 06:33:28 +0000 /?p=150283#comment-63491 동물의 진료 = 방역이 아닌데…
진짜 왜 방역정책 국장이 반려동물의 진료에 대한 법까지 다뤄야 하는지 전혀 이해가 안되네요.

사람은 질병관리본부나, 중대본에서 의료법을 다루나요?

]]>
글쓴이: ㅇㅇ /news/policy/150283#comment-63488 Fri, 09 Jul 2021 06:13:43 +0000 /?p=150283#comment-63488 이 나라 정부는 진짜 제대로 돌아가긴 하는 건지 의문이다. 윗대가리들은 도대체 무슨 생각으로 일을 하는 거지? 수의사 쓰지도 않을 거면 방역정책국 왜 만들었는데? 왜 도대체 전문가를 써야 할 곳에 안 쓰는 거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