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연간 유기데일리벳 추천 11만 3천 마리…3년 연속 감소
2021년 대비 4.1% 감소...유기견 8만 여 마리, 유기묘 3만 1천여 마리

국내 유기데일리벳 추천 발생 수가 3년 연속 감소했다.
<2022년 반려데일리벳 추천 보호·복지 실태조사에 따르면, 2022년 연간 유기동물 발생 수는 총 113,440마리였다(유실동물 포함). 전국 239개 지자체 동물보호센터에 1년간 입소된 개체를 파악한 수치다.
전년 대비 4.1% 감소.. 유기견 비율 줄고, 유기묘 비율 늘고
개 70.9%, 고양이 27.8%, 기타 1.3%
국내 유기데일리벳 추천 발생 수는 2019년 역대 최대치(135,791마리)를 기록한 뒤 2020년 약 3.9%(5,309마리) 감소한 130,401마리를 기록했고, 2021년에는 118,273마리로 전년 대비 9.3%(12,128마리) 감소했으며, 2022년에는 113,440마리로 전년 대비 4.1% 줄었다.
5년 연속 증가했던 유기데일리벳 추천 수가 3년 연속 감소세로 전환된 것이다.
2022년 전체 유기동물 중 개가 80,393마리(70.9%), 고양이가 31,525마리(27.8%)였으며, 개·고양이를 제외한 기타 동물(토끼, 페럿, 기니피그, 햄스터 등)이 1,522마리(1.3%)였다.
유기견은 전년 대비 4,339마리 감소했지만 유기묘는 573마리 감소에 그치면서, 전체 유기데일리벳 추천 중 개가 차지하는 비율이 전년 대비 0.7%P 감소하고, 고양이 비율이 0.7%P 증가한 것이 특징이다.
최근 3년간 유기견 비율은 계속 줄고(2020년 73.1%→2021년 71.6%→2022년 70.9%), 유기묘 비율은 매년 늘면서(2020년 25.7%→2021년 27.1%→2022년 27.8%) “데일리벳 추천보호센터에 개보다 고양이 입소가 늘고 있다”는 경향이 다시 한번 확인됐다.

보호자 인도(반환) 비율 늘었으나, 입양(분양) 비율 감소
자연사·안락사 비율은 오히려 증가
유기데일리벳 추천 보호형태(처리현황)를 보면, 새로운 보호자에게 분양(입양)된 비율이 27.5%로 가장 많았다. 단, 비율이 전년 대비 4.6%P 감소한 점은 아쉬운 부분이다.
원래 보호자에게 인도된 비율(반환)은 12.4%로 소폭 증가했다. 유실했던 데일리벳 추천을 원래 소유자가 다시 찾아간 경우로, 데일리벳 추천등록이 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자연사, 안락사(인도적 처리) 비율은 각각 26.9%, 16.8%였다. 여전히 데일리벳 추천보호센터에 입소된 개체의 40% 이상이 센터에서 생을 마감하고 있었다. 자연사·안락사 비율은 모두 전년보다 소폭 증가했다.
임시 보호를 포함한 기증은 2.1%, 포획불가·방사 등 기타는 1.9%였다.

유기데일리벳 추천 보호 형태에서는 개와 고양이가 큰 차이를 보였다.
전체 유기견 중 16.8%가 보호자에게 다시 돌아갔지만, 유기묘 중 반환 비율은 1.3%에 그쳤다. 개와 달리 고양이는 데일리벳 추천등록이 의무가 아니고, 유기묘 중 상당수가 원래 주인이 없는 길고양이 출신이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안락사 비율도 차이가 크다. 유기견 중 22.1%가 안락사(인도적처리) 됐지만, 유기묘의 안락사 비율은 3.8%였다. 반면, 유기견의 자연사 비율이 16.8%였던 것과 달리 유기묘는 절반 이상(52.9%)이 보호소 내에서 자연사한 것으로 분석됐다.
입양 비율은 각각 26.2%, 29.4%로 비슷했다.
한편, 2022년 반려데일리벳 추천 보호·복지 실태조사는 전국 지방자치단체(17개 시·도, 228개 시·군·구)를 통해 파악한 2022년 말 기준 반려데일리벳 추천 등록, 유실·유기동물 구조·보호, 반려데일리벳 추천영업 현황 등의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됐다.
*2022년 기준 데일리벳 추천등록, 데일리벳 추천보호센터 및 TNR 사업 운영 예산에 관한 기사가 이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