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기고] 2019년 개에서 많이 확인된 종양의 종류는/네오딘바이오벳 학술부 /news/practice/companion-animal/130178 소통하는 수의사 신문 데일리벳 Mon, 27 Apr 2020 04:41:20 +0000 hourly 1 https://wordpress.org/?v=6.4.5 글쓴이: 데일리벳 관리자 /news/practice/companion-animal/130178#comment-51745 Mon, 27 Apr 2020 04:41:20 +0000 http://www.dailyvet.co.kr/?p=130178#comment-51745 학술부 수준의 응답.

안녕하세요, 데일리벳 관리자입니다. 댓글로 지목해주신 용어에 대해 기고자와 협의하여 일부 수정하였습니다. 종양 명칭에서의 오타도 수정하였습니다.
독자분들의 이해를 도울 수 있도록 협조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글쓴이: 네오딘바이오벳학술부 /news/practice/companion-animal/130178#comment-51744 Mon, 27 Apr 2020 04:41:11 +0000 http://www.dailyvet.co.kr/?p=130178#comment-51744 안녕하세요, 의견 감사드립니다. 사용한 단어에 있어 혼동을 초래할 수 있다고 판단되어 수정하였습니다.

]]>
글쓴이: ㅇㅇ /news/practice/companion-animal/130178#comment-51741 Mon, 27 Apr 2020 03:04:50 +0000 http://www.dailyvet.co.kr/?p=130178#comment-51741 학술부 수준의 응답.

학술부가 잘못쓴게 아니고 기자가 잘못쓴거 같은데요

]]>
글쓴이: 종양 /news/practice/companion-animal/130178#comment-51740 Mon, 27 Apr 2020 02:31:28 +0000 http://www.dailyvet.co.kr/?p=130178#comment-51740 학술부 수준의 응답.

추측컨대, 암종을 ‘암의 종류 (cancer type?)’라고 생각한게 아닌가 싶네요. 어찌됐건 양성 종양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암종이란 단어가 부정확한 것 맞습니다. 의외로 암 (cancer)이 양성을 제외한 “악성 종양”을 의미한다는 걸 모르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오타는 Cutaneous 에서 발견되는데 그래프에는 올바로 표기되어 있네요.
Trichoeipthelioma에도 오타가 있네요.

]]>
글쓴이: 언어의 사회성 /news/practice/companion-animal/130178#comment-51694 Fri, 24 Apr 2020 10:09:28 +0000 http://www.dailyvet.co.kr/?p=130178#comment-51694 학술부 수준의 응답.

기본에 충실하시네요 보기 좋은 자세입니다

]]>
글쓴이: 학술부 수준 /news/practice/companion-animal/130178#comment-51693 Fri, 24 Apr 2020 09:06:59 +0000 http://www.dailyvet.co.kr/?p=130178#comment-51693 종양이름에 오타도 있고, 내용에는 모든 종양을 명시했는데 제목에는 암종이라 표현하다니요. 암종은 상피유래 악성종양만을 의미한다는 걸 모르고 적은 걸까요? 아님 단순 편집자의 실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