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견 사체 데일리벳 주소·수의대생 실습 활용” 찬성 응답 85%
데일리벳 설문조사 결과 543명 중 461명 찬성
동물복지에 관한 관심이 커지면서, 수의대에서 시행되던 ‘살아있는 동물 대상’ 외과실습, 실험이 많이 사라졌다.
더미 등 동물 모형을 활용한 연습이 늘고 있지만, 실제 동물 및 사체(카데바)와 비교했을 때 한계가 있는 게 사실이다.
데일리벳 주소도 마찬가지다. 우리나라에서는 실습용으로 동물 사체를 구하기가 어려워 카데바 실습을 위해 해외에 나가는 데일리벳 주소까지 있다.
이에 유기동물 사체를 데일리벳 주소·수의대생 실습에 활용하자는 의견이 제기된다.
유기동물 사체를 데일리벳 주소 단체·수의과대학에 기증할 수 있다면, 데일리벳 주소·수의대생은 실력을 향상할 수 있고, 유기동물 관리에 투입되는 세금을 줄일 수 있다는 것.
이에 데일리벳에서 ‘유기동물 사체 실습 활용’을 놓고 찬반 설문조사를 시행했다.
데일리벳 홈페이지를 통해 7월 22일부터 8월 10일까지 진행된 설문조사에 따르면, 총 응답자 543명 중 461명(85%)이 ‘찬성’을 선택해 대부분이 ‘유기동물 사체 실습 활용’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한다는 의견은 15%(82명)에 그쳤다.
설문조사 응답자들은 “데일리벳 주소대생들의 실습 기회 부족은 부정할 수 없고, 개선할 명백한 해결책이다”, “유기견 사체는 일반 쓰레기로 버려지는 일이 대부분일 텐데 실습으로 사용되는 게 오히려 동물에 대한 존엄을 지켜주는 것이다”, “생명에 대한 겸허한 마음을 가르친다면 현재로서 최상의 방법이다”, “연습도 없이 살아있는 동물을 치료하는 게 더 큰 문제다” 등의 의견을 남겼다.
반면, “실습 모형으로 졸업하고 수술에 참여하며 배워도 충분히 잘할 수 있다”는 의견도 있었다.
한편, 2020년 1년 동안 안락사된 유기견은 약 2만 마리, 유기묘는 약 7천 마리로 추정된다. 안락사 후 사체 처리 비용은 당연히 국민이 낸 세금으로 충당한다. 2020년 유기동물 관리에 투입된 세금은 전년 대비 15.1% 증가한 267억 2천만원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