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사람보다 반려동물에 효과 좋은 줄기세포, 개·고양이 20세 시대 첫걸음 /news/practice/companion-animal/170549 소통하는 수의사 신문 데일리벳 Fri, 19 Aug 2022 01:59:31 +0000 hourly 1 https://wordpress.org/?v=6.4.5 글쓴이: 링크 /news/practice/companion-animal/170549#comment-72408 Fri, 19 Aug 2022 01:59:31 +0000 /?p=170549#comment-72408 링크의 응답.

[ Membrane-Free Stem Cell Components Inhibit Interleukin-1α-Stimulated Inflammation and Cartilage Degradation In Vitro and In Vivo: A Rat Model of Osteoarthritis ]

https://www.mdpi.com/1422-0067/20/19/4869

골관절염에 대한 논문이 따로 있네요.

]]>
글쓴이: 지나가던 박사 /news/practice/companion-animal/170549#comment-72386 Wed, 17 Aug 2022 23:43:41 +0000 /?p=170549#comment-72386 링크의 응답.

1번 논문 – 인디아 저널이야 그렇다치고.. 대충 스템셀에서 membrane free component를 mass spectrophotometer로 찍어보니 많은 단백질이 있더라~ 이거 실험으느 안했는데 컴퓨터로 분석해보니 다양한 단백질이있고 애네들은 아마 좋은 작용할걸?? 그리고 이걸 세포주에 실험해보니 NO랑 COX2 줄이는걸로봐서 항염증 작용이있네?? 문제는 저 실험에 사용된 RAW cell은 다양하게 사용되는 세포긴한데 너무 그 기전에 대한 고찰으느 없네요
2번째는 부산대랑 하신거네요 마우스에 허혈성 데미지를 입히기전에 membrane free protein을 넣었는데 그러니까 허혈성 데미지가 줄었네? 이는 아마도 Nf-KB pathway를 억제한게 아닐까? TLR4랑 작용해서? 항염증 작용이 있네~! 라는 논문이고…
3번째 첫번째랑 비슷하네요 대충 membrane free component raw cell에 넣어보니까 Nf-kB pathway 억제한다~!! 항염증이다~!!
과학적으로 접근하는 방식이 아주 마음에 들지만 사실 이런 실험실적 데이터가 임상에 사용되기까지 수많은 난관이 있는데 가능하면 임상 결과가 있으면 좋을텐데요 다양한 신물질들이 저런 항염증 작용을 한다는 논문은 질릴때까지 많이 봤는데 이게 신약 개발로 연결된 경우를 본적은 없어서..

]]>
글쓴이: 누구 /news/practice/companion-animal/170549#comment-72383 Wed, 17 Aug 2022 20:27:47 +0000 /?p=170549#comment-72383 링크의 응답.

동물용의약품으로 허가를 받았으니 효과적인 문제가 없다니요? 농림부 허가는 의약품의 효과와는 전혀 별개의 문제입니다. 윗님이 지적하신대로 기껏해야 인비트로와 랫트 연구인데, 본문에서도 고등동물일수록 효과가 떨어진다고 해놓고,랫트로 실험한 결과가지고 개고양이 관절에도 좋고 뭐에도 효과가 좋고 이렇게 광고를 하다니요. 본문내용과 상반되네요. 이건 과장광고 아닌가요?
애초에 줄기세포추출물제품을 줄기세포치료인것마냥 기사내용도 줄기세포내용만을 언급하는것도 거의 허위광고 수준으로 보입니다.

]]>
글쓴이: 힌다이엠디피아이 /news/practice/companion-animal/170549#comment-72372 Wed, 17 Aug 2022 07:08:11 +0000 /?p=170549#comment-72372 링크의 응답.

하나는 힌다이
두개는 엠디피아이
이게 임상에서 사용되는 치료제의 근거라니

]]>
글쓴이: 근거중심의학 /news/practice/companion-animal/170549#comment-72371 Wed, 17 Aug 2022 06:40:09 +0000 /?p=170549#comment-72371 링크의 응답.

링크해주신 논문 링크들 모두 들어가보았는데 in vitro 수준의 실험이거나 골관절염 효과에 대한 논문이 아닌데요? 티스템 홈페이지에 소개된 논문 중에서 그나마 가장 관련있는게 티스템 연구진에 의해서 랫트 모델로 실험한 거던데요. 검역본부에서 동물용의약품으로 허가를 받았다고 해서 효과적인 면이 검증된 건가요? 블로그 케이스가 있으면 효과가 검증된 건가요? 저 정도의 근거라면 부작용은 없을지 몰라도 효과에 대한 신뢰도는 너무 빈약하다고 보입니다만. 혹시 추가적인 자료 받으시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글쓴이: 링크 /news/practice/companion-animal/170549#comment-72370 Wed, 17 Aug 2022 05:12:51 +0000 /?p=170549#comment-72370 티스템 홈페이지와 발행된 기사의 내용으로 찾아본 결과, 티스템에서 최초로 개발한 무막줄기세포기술(Membrane-Free Stem Cells Technology)을 바탕으로
줄기세포 추출물의 구성과 어떤 작용을 하는지에 대한 프로파일링 논문이 있네요.

https://www.hindawi.com/journals/ecam/2019/4683272/
인체지방유래 무막줄기세포추출물 분석 및 항염증 활성 논문

https://www.mdpi.com/2075-1729/12/4/503
인체지방유래 무막줄기세포추출물 골관절염 효과 논문

https://www.mdpi.com/1422-0067/22/13/6894

또한 농림축산검역본부로부터 동물용의약품으로 허가를 받은 제품이기때문에 효과적인 면이나, 안전성에 대한 부분은 문제가 전혀 없어보입니다.

티스템에 문의해보니 직접 동물병원에서 사용하는 케이스도 동물병원 블로그에서 확인할 수 있고 논문파일도 메일링 해준다고 하네요.

]]>
글쓴이: 논문좀 /news/practice/companion-animal/170549#comment-72354 Tue, 16 Aug 2022 14:11:25 +0000 /?p=170549#comment-72354 누구의 응답.

논문 링크 좀 부탁드릴께요. 가장 큰 이슈는 세포막을 깨고 나온 단백질의 안정도와 그 단백질의 효능을 어떤 식으로 입증했는지 스터디 디자인과 적절하게 모두들 공감할 수 있는 방법으로 연구를 수행했는지가 관건이겠네요. 뭐 개나소나 다 SCI에 출간해서 논문에 냈다는 말로 정확한 연구를 했다고 보기에는 어렵고 논문을 한번 읽어봐야겠어요.

]]>
글쓴이: 근거중심의학 /news/practice/companion-animal/170549#comment-72344 Tue, 16 Aug 2022 08:05:32 +0000 /?p=170549#comment-72344 누구의 응답.

@로얄메디 / 기사 내용은 대부분 줄기세포 치료에 대한건데요? 줄기세포 치료에 대한 근거도 아직 부족하고, 언급된 특정제품의 효과는 더욱 근거가 부족하다는 누구님의 지적이 타당하다고 생각합니다. 티스템 제품은 줄기세포 추출성분이지 줄기세포 치료제도 아닌데 왜 줄기세포 치료인 것처럼 홍보하죠? 효과에 대한 근거는 확실한가요? 티스템 성분을 보면 human adipose stem cell derived protein 이라 되어있고, integrin, gelsolin 이 유효성분인 것 같은데 이게 개/고양이의 관절염에 효과가 있더라는 논문이 있나요? 궁금해서 그런데 있으면 누가 좀 알려주실래요? 저는 잘 못찾겠어서요.

]]>
글쓴이: 로얄메디 /news/practice/companion-animal/170549#comment-72338 Tue, 16 Aug 2022 01:17:05 +0000 /?p=170549#comment-72338 누구의 응답.

저기 저 티스템 회사 주사제는 줄기세포가 아니라 줄기세포막을 깨고 줄기세포 내에 단백질 성분을 이용한 주사제이고 그 성분과 효력에 대한 SCI급 논문도 나와있네요 ;; 그리고 동물용의약품으로 허가를 받으려면 임상은 3상 은 기본으로 거쳤을 것이고 다른기사에 보면 임상이야기도 있습니다.
상기 기사에 모든 내용을 기자가 임상 퀄리티 컨트롤 까지 기입을 해야할까요 ?;;

]]>
글쓴이: 누구 /news/practice/companion-animal/170549#comment-72334 Mon, 15 Aug 2022 16:04:15 +0000 /?p=170549#comment-72334 줄기세포가 개고양이한테 효과가 더 좋다는건 누구 피셜인가요? 이렇게 특정회사 제품홍보를 수의사집단이 쓰는 웹사이트에 대놓고 홍보하면서 막상 근거에 대한 내용은 단 한줄도 없네요. 어디에 주사할수있다, 효과가 좋다, 이정도 단어는 수의사가 아닌 카더라 기자들도 아무나 쓸수 있을텐데, 어떤어떤것에 효과가 있다고 주구장창 찬양하는 기사를 쓸때는 그 주장을 뒷받침할만한 학술적인 근거가 있어야하는거 아닌가요? 줄기세포치료는 효과가 없다고 나온 논문이 훨씬 많아서 외국에서도 루틴하게 쓰고 있지않은데, 그나마 근거가 될만한 논문이야기는 한줄 언급도 없군요. 신부전은 줄기세포가 효과있다는걸 입증하기위해 수없이 많은 연구가 진행됐지만 효과가 없다, 가 결국 결론 아니었던가요? 게다가 애초에 줄기세포의 효과를 정확히 평가하기 어려운 이유가 프로세싱 과정과 회사별 프로토콜 차이가 심해서인데, 이 정도 특정제품이 좋다좋다 찬양하는 기사를 쓰려면 자체적으로 어느정도 임상실험이나 퀄리티컨트롤에 대한 상세한 설명 이런게 있어야하는거 아닌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