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응급 중환자의 생존율을 높이는 응고계 검사’ 바이오노트 3월 4일 웨비나 /news/practice/companion-animal/206086 소통하는 수의사 신문 데일리벳 Tue, 27 Feb 2024 11:41:49 +0000 hourly 1 https://wordpress.org/?v=6.4.5 글쓴이: ㅇㅇ /news/practice/companion-animal/206086#comment-90347 Tue, 27 Feb 2024 11:41:49 +0000 /?p=206086#comment-90347 기계문제가아니고 d-dimer자체가 쉽게 변질되는 물질이라 측정할때마다 제멋대로라 임상적 가치가 없음

]]>
글쓴이: 89 /news/practice/companion-animal/206086#comment-90345 Tue, 27 Feb 2024 08:38:00 +0000 /?p=206086#comment-90345 단순히 디스크만 넣고 돌리면 땡인 일반 chemistry 에 비해 cortisol이나 fPL 등이 들쭉날쭉 나오는 이유는 검사 과정 중 pipetting이 관여하고 있기 때문. 들어가는 샘플량도 5ul~100ul 정도의 소량이기 때문에 편차가 큽니다. 기계 탓하기 전에 연습들 먼저 합시다.

]]>
글쓴이: wr /news/practice/companion-animal/206086#comment-90341 Tue, 27 Feb 2024 07:34:59 +0000 /?p=206086#comment-90341 SDMA나 어떻게 해봐유~

]]>
글쓴이: 1인수의사 /news/practice/companion-animal/206086#comment-90340 Tue, 27 Feb 2024 06:21:26 +0000 /?p=206086#comment-90340 다음카페 디브엠 가보면 vcheck 기기 쓰시는 분들 대다수가 cortisol이나 d-dimer등이 검사자 손?을 많이 타서 결과가 들쑥날쑥이라서 안쓰신다는 분들이 많던데요. 회사 말대로 재현성이 15%이내로 나오는게 맞는건가요?

추후 확실히 하실려면 매년 어느 교수님이 진단검사기기 검사결과 test하던데요
거기 쓰시던분들이 해봐야 확실할거 같네요.

양측 주장이 다를땐 중립적인 곳에서 결과 받아봐야죠.

]]>
글쓴이: ㅇㅇ /news/practice/companion-animal/206086#comment-90338 Tue, 27 Feb 2024 04:53:25 +0000 /?p=206086#comment-90338 ㅇㅇ의 응답.

당연히 벳크로마 썼지 넘구려서 중고로 올려도 안팔리더만?

]]>
글쓴이: 바이오노트 /news/practice/companion-animal/206086#comment-90336 Tue, 27 Feb 2024 04:43:33 +0000 /?p=206086#comment-90336 ㅇㅇ의 응답.

안녕하세요. 바이오노트입니다. 먼저 본사 제품에 보여주신 관심에 깊이 감사드립니다.

D-dimer 측정 시, 어떤 장비를 사용하셨는지 알 수 있을지요? Vcheck D-dimer 제품의 측정범위는 0.1~10 ug/ml이며, 동일 검체로 반복 측정한 평가에서 CV 15% 이내의 높은 재현성이 확인되었습니다. 혹 저희 제품을 이용하여 반복 검사 시 결과 차이가 있으셨던 경우, 하기 요소 확인 후에 재검사를 권고드립니다. (1. 올바른 항응고제(sodium citrate) 검체튜브 사용 여부, 2. 냉장 키트의 사용 전 30분 이상 상온화)

이외에 제품 관련 문의사항이 있으신 경우, 언제든지 바이오노트 학술팀으로 연락 부탁드립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십시오, 감사합니다!

]]>
글쓴이: ㅇㅇ /news/practice/companion-animal/206086#comment-90333 Tue, 27 Feb 2024 04:12:10 +0000 /?p=206086#comment-90333 D-dimer는 똑같은 피로도 500이 나왔다 1만이 나왔다, 10분뒤 채혈해봐도 똑같음. 이렇게 변동폭이 큰데 측정할 가치가 과연 있는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