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반려동물 피부 질환 증가에 애니티아 개·고양이 알레르기 검사 관심↑ /news/practice/companion-animal/219155 소통하는 수의사 신문 데일리벳 Thu, 23 Jan 2025 01:20:00 +0000 hourly 1 https://wordpress.org/?v=6.4.5 글쓴이: ㅇ /news/practice/companion-animal/219155#comment-102599 Thu, 23 Jan 2025 01:20:00 +0000 /?p=219155#comment-102599 참쌀선과의 응답.

피부단자검사가 정말 믿을만한가요? 저는 새우 알러지가 있는데 새우를 먹지않고 만지는거로는 알러지가 없어서요

]]>
글쓴이: 참쌀선과 /news/practice/companion-animal/219155#comment-102598 Thu, 23 Jan 2025 01:10:20 +0000 /?p=219155#comment-102598 Q. 특정 항원에 대해 IgE가 높다고 해서 그게 알러젠이라는 증거가 되니?
특정 항원에 대한 IgE 수치가 높다는 것은 그 항원에 대해 몸이 민감하게 반응할 준비가 되어 있다는 의미예요. 즉, 면역 시스템이 그 항원을 ‘알레르겐’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신호로 볼 수 있죠.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점은, 높은 IgE 수치가 반드시 임상적인 알레르기 증상으로 이어진다는 보장은 없다는 것이에요. 어떤 사람들은 특정 항원에 대한 IgE 항체를 가지고 있지만 실제로는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어요. 반대로, IgE 수치가 낮더라도 알레르기 증상을 보이는 경우도 있죠.

이를 정리하면:

IgE 수치 상승: 특정 항원에 대한 감작(sensitization)을 나타냅니다.

임상 증상: 실제로 그 항원에 노출되었을 때 알레르기 반응(두드러기, 가려움, 호흡곤란 등)이 나타나는지 여부입니다.

그래서 높은 IgE 수치는 그 항원이 알레르겐일 가능성을 시사하지만, 그것만으로는 충분한 증거가 되지 않을 수 있어요. 알레르기 진단에서는 임상 증상과 병력, 그리고 다른 검사 결과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해요.

추가로 고려해볼 만한 점은:

피부 단자 검사: 피부에 소량의 알레르겐을 노출시켜 반응을 보는 검사로, 즉각적인 알레르기 반응을 확인할 수 있어요.

유발 검사: 의료진의 감독 하에 실제로 의심되는 알레르겐에 노출시켜 반응을 관찰하는 방법이에요.

따라서 높은 IgE 수치는 그 항원이 알레르겐일 가능성을 보여주지만, 최종적인 판단은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정확해요.

혹시 특정 알레르기에 대해 더 궁금하신 점이나 공유하고 싶은 경험이 있으신가요? 제가 아는 한도 내에서 더 이야기 나눠볼 수 있어요!

]]>
글쓴이: ㅇㅇ /news/practice/companion-animal/219155#comment-97149 Wed, 31 Jul 2024 19:14:54 +0000 /?p=219155#comment-97149 믿을만한 제품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