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동물약사, `수의사님은 학교에서 사람약에 대해 얼마나 배우고 사람약을 사용하십니까?` /news/practice/companion-animal/4256 소통하는 수의사 신문 데일리벳 Fri, 31 Dec 2021 03:35:16 +0000 hourly 1 https://wordpress.org/?v=6.4.5 글쓴이: 베트맨25 /news/practice/companion-animal/4256#comment-67769 Fri, 31 Dec 2021 03:35:16 +0000 http://www.dailyvet.co.kr/?p=4256#comment-67769 지나가는 약사의 응답.

말과 래트같은 동물은 담낭이 없다는 것은 아십니까? 조류에서 공기교환은 방기관지에서 일어난다는 건요? 사람의 용량에서 체중만 다르게 해서 동물에 썼다가는 정말 큰일납니다.. 생각보다 해부학적 조직학적으로 종간 차이가 매우 커서 체내 약동학도 매우 차이납니다.. 답답하네요

]]>
글쓴이: ㅇ /news/practice/companion-animal/4256#comment-67766 Fri, 31 Dec 2021 00:47:37 +0000 http://www.dailyvet.co.kr/?p=4256#comment-67766 지나가는 약사의 응답.

약포장기

]]>
글쓴이: ㅇㅇ /news/practice/companion-animal/4256#comment-67764 Fri, 31 Dec 2021 00:39:43 +0000 http://www.dailyvet.co.kr/?p=4256#comment-67764 지나가는 약사의 응답.

약싸개

]]>
글쓴이: ㅇㅇ /news/practice/companion-animal/4256#comment-67763 Fri, 31 Dec 2021 00:39:26 +0000 http://www.dailyvet.co.kr/?p=4256#comment-67763 이문제의 응답.

약싸개

]]>
글쓴이: 어이 임모씨 /news/practice/companion-animal/4256#comment-5145 Thu, 30 Oct 2014 00:55:53 +0000 http://www.dailyvet.co.kr/?p=4256#comment-5145 이문제의 응답.

이 양반 또 네이버 검색질 하고 다니나?수의사가 의료를 독점한다는 발상은 뭡니까? 수의사는 국가가 동물진료/처방/조제를 하라고 인정한 직업군입니다. 면허의 의미 모르세요? 약사는 왜 약을 독점하죠? 편의점과 슈퍼랑 나누세요. 그리고 ‘독점’이라는 말은 사용하시면 안되죠. 독점은 상대방이 나와 같은 자격이나 권한이 있을 때 쓰는 말이지, 동물의 생리 약리 병리 조직 해부 미생물 전염병 방사선 외과 내과 산과 공중보건 기생충 법규 등등등 수많은 과목을 6년간 배우고 국가고시에 합격한 수의사들이 ‘동물에 관한 지식이 전무’한 약사들에게 들을 말은 아니지요. 아시겠습니까?동물병원 약값을 얼마든지 싸 질수 있습니다. 바로 그 어드밴티지를 약사들이 막고있죠. 모든 인의약품을 동네약국에서 마진이 덕지덕지 붙은 소매약을 구입하도록 약사법으로 꼼수를 부리고 있지 않습니까? 도매상도 약사인데 왜 수의사는 도매상에서 인의약품을 구입할수 없게 훼방을 놓는거죠? 동네약국들, 도매상에서 약 받아서 몇배씩 마진 붙여서 동물병원에 팔고, 그렇게 수의사들이 비싼 약제비를 받을수밖에 없는 구조를 만들어놔놓고 밖으로는 동물병원 비싸다고 광고하면서 약국와서 약 사라고 유도하는게 잘 하는 짓입니까?

]]>
글쓴이: 이문제 /news/practice/companion-animal/4256#comment-5144 Wed, 29 Oct 2014 22:34:58 +0000 http://www.dailyvet.co.kr/?p=4256#comment-5144 이 문제의 논점은 좀 다른 부분에 있는거 같네요.
수의사님 입장에서 그럼 동물의약품이란게 동물병원에서만 팔 수 있는 독점적인 부분이라고 생각하십니까?
그래서 단합을 통해 가격을 비싸게 책정해도 되는지요. 마치 대기업의 횡포와 다름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면 약국에서 사는것보다 동물약국에서 사는게 낫게끔 어드밴티지를 만드시던지요.
정당한하고 선의의 자율경쟁이 아닌 독점적이고 탐욕에 눈 먼 대기업의 횡포처럼 느껴지네요.

]]>
글쓴이: 감히 종특을 논하느냐 /news/practice/companion-animal/4256#comment-2236 Mon, 30 Dec 2013 10:48:53 +0000 http://www.dailyvet.co.kr/?p=4256#comment-2236 스위스 의사 파라셀수스는 “용량”이 약으로 작용할지 독으로 작용할지를 결정한다고 했습니다.
종특이성에는 여러 요인들이 있겠지만 용량 또한 이에 포함됩니다
사람과 다르게 동물은 종과 체구가 다양하기 때문에 이 용량에 민감할 수 밖에 없습니다
이 때문에 수의학에서는 여러 동물들의 각기 다른 용량을 배우고 있는겁니다

]]>
글쓴이: 의약분업은실패한 정책 /news/practice/companion-animal/4256#comment-102 Mon, 20 May 2013 13:15:31 +0000 http://www.dailyvet.co.kr/?p=4256#comment-102 정부에서 추진한 의약분업때문에 보험청구가 병원에서 한번 약국에서한번… 국민들의 혈세가 낭비되고 또한 국민들에게 불편을 초래하게된 실패한정책이죠… 물론 오래전 대국민 사과도 햇던걸루 기억합니다 그런데 약사는 실패한정책을 자기들의이익을 위해 국민의 불편을 남몰라라한체..들먹거리다니 우습네요 ㅋㅋ

]]>
글쓴이: 뭐야이건 /news/practice/companion-animal/4256#comment-100 Mon, 20 May 2013 12:12:23 +0000 http://www.dailyvet.co.kr/?p=4256#comment-100 ㅡㅡ의 응답.

의사한테 얘기하세요 약파는 의사라도 있나요?

]]>
글쓴이: ㅡㅡ /news/practice/companion-animal/4256#comment-98 Mon, 20 May 2013 08:39:49 +0000 http://www.dailyvet.co.kr/?p=4256#comment-98 진료는 의사에게 약은 약사에게 -_-;;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