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실제 사례로 알아보는 `심장사상충 연중 예방+정기 검사`의 중요성 /news/practice/companion-animal/75949 소통하는 수의사 신문 데일리벳 Sun, 14 Apr 2019 13:55:21 +0000 hourly 1 https://wordpress.org/?v=6.4.5 글쓴이: Dr.Yoon /news/practice/companion-animal/75949#comment-36265 Sun, 14 Apr 2019 13:55:21 +0000 http://www.dailyvet.co.kr/?p=75949#comment-36265 제네릭의 응답.

동물약의 제네릭은 생동성실험이 면제되어 있어 그 약효를 완전히 믿기 어렵습니다. 또한 대표적인 예방약 성분인 ivermectin은 빛에 불활화 됩니다. 심지어 제네릭의 포장 케이스까지 완벽히 빛을 차단하는지 평가하기 어렵습니다.

]]>
글쓴이: 설명 /news/practice/companion-animal/75949#comment-19345 Wed, 26 Apr 2017 14:40:08 +0000 http://www.dailyvet.co.kr/?p=75949#comment-19345 두부아빠의 응답.

기사에 보면 심장사상충 생활사 나오죠? 모기가 물었을 때 심장사상충 3기 유충 상태로 동물의 피하로 들어갑니다. 그리고 피하에서 3~4일 있으면서 4기 유충이 되면서 혈액으로 들어갑니다.
예방약은 피하에 존재하는 3기 유충을 죽이는 약입니다.
따라서 이미 성충 감염이 이뤄지면 예방약으로도 예방이 안되는겁니다.
1년 12개월 내내 예방하라고 하는 이유가 바로 그겁니다.
만약 성충 감염이 됐을 때는 예방약이 아니라 직접 사상충을 죽이는 약을 써야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혈관을 통해 심장사상충을 제거하는 시술을 하기도 합니다.

]]>
글쓴이: 두부아빠 /news/practice/companion-animal/75949#comment-19343 Wed, 26 Apr 2017 12:14:57 +0000 http://www.dailyvet.co.kr/?p=75949#comment-19343 정말 궁금해서 물어봅니다 여러 수의사님들께?!!

기생충이 예방약이란게 있기는 한겁니까?
기생충이 생기면 약을 먹어서 치료를 해야 하는거 아닌가요?
심장사상충이 기생충이라는데 기생충을 예방하는 약이 있다는게 신기할 따름이라서요.

]]>
글쓴이: 허술한 국내약 /news/practice/companion-animal/75949#comment-19338 Wed, 26 Apr 2017 03:29:32 +0000 http://www.dailyvet.co.kr/?p=75949#comment-19338 여기서정리의 응답.

독성 검사도 없다고 하더군요.
카피약이니..약성분 몇 미리그람 들어갔는지 정량검사 정도만 한다고…
중금속이나 부형제에 대한 독성검사 없냐니 그런 건 없다고 하더라구요.
사람 가습기살균제 사태만 봐도 우리나라의 현실을 알 수 있지요~

]]>
글쓴이: 몰라서?? 죄송 /news/practice/companion-animal/75949#comment-19327 Tue, 25 Apr 2017 08:54:23 +0000 http://www.dailyvet.co.kr/?p=75949#comment-19327 여기서정리의 응답.

여기 수의사만 되나요!??
저는 약사는 아니고! 반려동물산업에 관심이 있어서…

]]>
글쓴이: 쓸 약이 있냐? /news/practice/companion-animal/75949#comment-19325 Tue, 25 Apr 2017 08:00:07 +0000 http://www.dailyvet.co.kr/?p=75949#comment-19325 여기서정리의 응답.

수의산데?

]]>
글쓴이: 약싸들이 왜? /news/practice/companion-animal/75949#comment-19322 Tue, 25 Apr 2017 04:04:24 +0000 http://www.dailyvet.co.kr/?p=75949#comment-19322 여기서정리의 응답.

약싸들이 왜 여기서 댓글 놀이를 하고 있어?

]]>
글쓴이: 한글아 /news/practice/companion-animal/75949#comment-19309 Sun, 23 Apr 2017 10:40:26 +0000 http://www.dailyvet.co.kr/?p=75949#comment-19309 가나다라의 응답.

신약개발이 쉬운줄 아니?
그보다는 많은 환자들에게 저렴하게 약의 혜택을 주기 위해
특허가 끝나면 저렴하게 제네릭으로 공급하는게 순리적으로 맞는 일이다.

]]>
글쓴이: 아니요씨 /news/practice/companion-animal/75949#comment-19308 Sun, 23 Apr 2017 10:37:14 +0000 http://www.dailyvet.co.kr/?p=75949#comment-19308 제네릭의 응답.

언제적 동물약품 회사 다니셨습니까?

]]>
글쓴이: 팩트 /news/practice/companion-animal/75949#comment-19307 Sun, 23 Apr 2017 10:29:10 +0000 http://www.dailyvet.co.kr/?p=75949#comment-19307 이분최소의 응답.

일반 보호자 분들은 잘 모르시기 때문에 함부로 오해를 살 만한 내용의 기사는 좀더 신중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위 기사 내용이 다 맞지만
심장사상충에 감염된 이유가 제네릭때문인지는 확실하지 않으므로
기사를 쓸 때 조심해야 합니다.
4~11월까지 보호자에 의해 투약되고 비닐하우스에 사육되었다면 오리지널 약이라도 감염됐을거 아닙니까?
그게 아니라면 만약에 오리지널은 감염이 안된다면
이번엔 제네릭의 품질미달이 문제지 투약기간과 자가투약에는 문제가 없는 거 아닙니까?
제네릭을 옹호하는게 아니라 기사가 근거에 미흡했다는 점을 지적한 것 뿐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