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반려견 피부병에 사람 스테로이드 연고 폭탄‥생명 위협까지 /news/practice/companion-animal/81588 소통하는 수의사 신문 데일리벳 Wed, 27 Nov 2024 00:41:22 +0000 hourly 1 https://wordpress.org/?v=6.4.5 글쓴이: ㅇㅇ /news/practice/companion-animal/81588#comment-78262 Sun, 02 Apr 2023 00:15:10 +0000 http://www.dailyvet.co.kr/?p=81588#comment-78262 어이없네의 응답.

1. 약,연고 등
법적으로 의사는 약을 도매로 구입 가능하나 수의사는 소매로 구입할수있습니다. 도매에서 소매로 오는데 가격이 10배로 뻥튀기됩니다. 수의사 폭리가 아니고 유통업의 폭리입니다

2. 인건비
사람은 진료볼때 가만히있으라면 가만히있지만 개고양이는 그렇지않습니다 엑스레이 초음파만 보려해도 보정자가 최소2명은 붙어야합니다. 그래서 사람병원에서 간호조무사 필요한 인원보다, 동물병원에서 수의테크니션 필요한 인원이 더 많고, 개고양이똥오줌치우고 다치는거때문에 사람들이 수의테크니션보다 간호조무사하려합니다 그래서 연봉도 간호조무사보다 수의테크니션이 더 높습니다. 동물병원 수의테크니션들 인건비가 한달에 수천만원 하는데 사람병원 간호조무사 인건비는 한달에 천만원이 안됩니다.

3. 임대료
동물병원은 1층이고 사람병원은 2층입니다
동물병원이 들어가는 1층은 보통 평당 200만원 부릅니다 임대료 의사보다 많이냅니다

4. 부가세
의사와 다르게 수의사는 부가세업종이라 매출의 10%는 수의사가 먹는게 아닙니다.

5. 타 국가와의 비교
처치받는거말고 그냥 상담만하구 나와도 기본적으로 받는 진료비가 우리나라는 5천원에서 1만원정도하나 미국은 20만원합니다. 미국이 우리나라보다 gdp가 20배입니까? 물가가20배입니까? 우리나라 진료비는 국민들 소득수준에비해 저렴한 편입니다

6. 통계청 공식발표
통계청 official에 따르면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는 영업이익률이 35%정도입니다 즉 한달매출이 3천만원이라면 의사는 1천만원 먹는겁니다. 반면 수의사는 영업이익률이 17%정도입니다. 즉 한달매출이 3천만원이라면 수의사는 5백만원 먹는겁니다.

7. 그래도 상위권은 잘버는거 아니냐?
일단 어느직종이든 상위권은 잘벌어야되는게 마땅한건데, 스포츠선수 연예인을 떠나 의사들도 최상위권은 연 수백억을 법니다. 매출말고 순수익이요. 반면 수의사는 최상위권이어도 연 수십억이 안됩니다.
상위권이 잘번다고해서 직업에 규제를 가하면
상위권은 큰 타격 없지만 하위권은 굶어죽습니다.
하위권 안건들고 상위권만 규제하면 되지 않느냐?라고 생각하신다면 그건 공산주의정책이라 실행할수없습니다.

8.노력에 대한 댓가
수의대 입학성적 및 수의학 공부량 등 노력에 비해 돈을 벌지 못한다면 수의대 입학성적은 떨어지고 그만큼 돌팔이 수의사들이 나와 오진 의료사고가 늘어날것입니다. 비슷한 입결의 공대생들이 삼성가서 받는 연봉에 비해, 수의사 페이닥터 연봉이 낮은걸 아시는지요

추가
병원마다 천차만별 금액이 다른건
병원마다 총 인건비가 다르고(총 직원수) 임대료가 다르고 검사장비가 다르고 수술기구가 다르고 약회사가 다르니 비용이 다르게 나옵니다
간단한 예시를 들면
동물병원에서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 검사하는 통칭 cbc검사가 있습니다. 기계한번사놓으면 끝이아니고 소모품이라 검사할때마다 돈들고요
검사 기계 회사마다 제품모델마다 가격이 다릅니다.
2차24시대형병원은 좋은회사의 최신모델을쓰고
1차작은병원은 덜좋은회사의 연식오래된모델을쓰는데
소모품 비용 차이가 10배 납니다.

추추가
제가 한때 양심적인병원이라고 소문났던 단가 매우 저렴하게 하는곳에서 일한적있습니다 (수컷중성화 총비용5만원, 방광결석수술 20만원). 보호자들은 양심적이라며 우리 강아지 고양이를 진심으로 생각해준다며 좋아하셨습니다. 하지만 실상은 의료기기 재활용에 정품아닌 제품들을 써가며 병원운영하셨습니다 비위생적으로 수술복도 안입고 수술하고요. 수술복도 돈많이나갑니다. 그렇게하지않으면 적자나기때문에요. 과연 진심으로 개고양이를 생각해준다면 그렇게 할까요? 정말 개고양이를 사랑하는 병원은 비싼병원입니다. 그만큼 개고양이들에게 좋은것만 주고싶어서 좋은제품(비싼제품)으로 처치 및 수술하니까요

]]>
글쓴이: 어이없네 /news/practice/companion-animal/81588#comment-78259 Sat, 01 Apr 2023 23:21:56 +0000 http://www.dailyvet.co.kr/?p=81588#comment-78259 뒤늦게 댓글 보는데 웃기고 어이없네요. 동물병원 폭리 취하는거 사실아닌가요? 1차,2차병원에 따라 수가가 올라가는건 알겠는데 검사 수가가 정해지지 않으니 초진진찰비며 혈액검사비,초음파비 병원마다 천차만별입니다. 사람이 쓰는 안연고(테라마이신)를 사람이 처방받으면 몇천원이고 동물병원 처방시 4만원 나옵니다.(팩트입니다!) 아이가 아파 급하게 찾은 병원에서 며칠 입원하고 퇴원하면 몇백만원 예사고 수술까지하면 천만원넘게 나오죠. 반려동물과 함께하는 인구가 몇천만명인데 아직도 병원에서 부르는게 값인 진료를 받아야하는건지.. 정책적으로 개편이 필요하다 생각됩니다.

]]>
글쓴이: 트위터 I컵 푸딩 /news/practice/companion-animal/81588#comment-42720 Tue, 24 Sep 2019 05:21:14 +0000 http://www.dailyvet.co.kr/?p=81588#comment-42720 푸딩의 응답.

동의합니다

]]>
글쓴이: 푸딩 /news/practice/companion-animal/81588#comment-42715 Tue, 24 Sep 2019 04:49:51 +0000 http://www.dailyvet.co.kr/?p=81588#comment-42715 밑에 의견을 다신 분들중에 대부분은 현황파악을 하고있는건지 …
자기들끼리의 의견이 아니라 반려가족 커뮤니티에 관심을 가져보세요.
과잉진료라던가 동물병원 진료비에 대해서는 많은 반려가족들이 공감하는 부분이니까요.
역량있고 좋으신 수의사분들도 물론 많지만 말이죠.
수의사들의 생각이 아니라 반려가족의 입장에서 생각해볼줄 알아야 해결책이 있을거 아니예요.

]]>
글쓴이: 동물사랑 웃기네 /news/practice/companion-animal/81588#comment-22113 Sat, 05 Aug 2017 06:22:05 +0000 http://www.dailyvet.co.kr/?p=81588#comment-22113 굿닥터의 응답.

동물사랑님 심장사상충약 샀는데 10만원 리얼리? 많이 샀으니 10만원이 나왔겠죠.
그리고 과잉 진료 진료비가 비싸다구요? 우리 나라가 태국이나 중국보다 진료비가 쌉니다.
제대로 알아보고 글 적으세요.

]]>
글쓴이: 마!!!!!!! /news/practice/companion-animal/81588#comment-22101 Sat, 05 Aug 2017 02:49:14 +0000 http://www.dailyvet.co.kr/?p=81588#comment-22101 굿닥터의 응답.

약타는 냄새 난다 안카나!!!!

]]>
글쓴이: 사상충약 10만원? 많이 사면 당연히 비쌈 /news/practice/companion-animal/81588#comment-22100 Sat, 05 Aug 2017 02:44:07 +0000 http://www.dailyvet.co.kr/?p=81588#comment-22100 굿닥터의 응답.

사상충약 1개 10만원 짜리가 있나요?
짝퉁 1-3천원짜리 약효불분명한거 말고
오리지널 사상충약도 9천원짜리부터 있는데.
아무리 싼거라도 많이 사면 당연 10만원 넘게 나오겠지.
근데 1개 10만원짜리는 없자나요. 말 돌리기 해서 동병 비싸다고 까는 약사님.
까실려면 팩트를 까세요.
맨날 여기와서 댓글 다시는데 약국이 참 한가한가 봅니다.
안타깝네요. 제가 아는 약사분들은 바빠서 동물약같은건 물어보니 취급도 안한다던데.

]]>
글쓴이: 9898 /news/practice/companion-animal/81588#comment-22083 Fri, 04 Aug 2017 09:18:11 +0000 http://www.dailyvet.co.kr/?p=81588#comment-22083 굿닥터의 응답.

과잉진료가 무슨 뜻인지는 아나요? 과잉진료는 필요가 없는 진료를 할때 과잉진료를 했다고 하는겁니다. 그런데 그 진료가, 그 검사가 필요가 있는지 없는지를 보호자분이 어떻게 아시죠? 그걸 배우기 위해 6년을 공부하는건데?

]]>
글쓴이: 00 /news/practice/companion-animal/81588#comment-22080 Fri, 04 Aug 2017 06:23:42 +0000 http://www.dailyvet.co.kr/?p=81588#comment-22080 굿닥터의 응답.

원하는 데로 하시지 심장사상충약 10만원은 본인 선택 같구만요. 동물병원 가격 타령 그만좀 하세요.

]]>
글쓴이: 동물사랑 /news/practice/companion-animal/81588#comment-22079 Fri, 04 Aug 2017 05:13:32 +0000 http://www.dailyvet.co.kr/?p=81588#comment-22079 굿닥터의 응답.

동물병원 가면 과잉진료 하고 약값 비싸게 받고 하는게 일상인데 병원 가고 싶은 마음이 안드네요
현실적으로 테크니션 분들이 약발라 주시는 경우도 받구요 자가진료 비난하기 전에 동물병원 가격이나 과잉진료부터 시정해주세요
동물병원 가서 심장사상충 약 삿더니 10만원이 넘게 나오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