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칼럼]수생동물 수의학 특화·활성화 시켜야 – 정태성 /news/practice/industrial-animal/8393 소통하는 수의사 신문 데일리벳 Fri, 27 Feb 2015 10:11:42 +0000 hourly 1 https://wordpress.org/?v=6.4.5 글쓴이: 아론 /news/practice/industrial-animal/8393#comment-616 Thu, 29 Aug 2013 12:33:25 +0000 http://www.dailyvet.co.kr/?p=8393#comment-616 오타가 있었네요
다양한 임상경험, 포유류 이렇게 수정합니다.

]]>
글쓴이: Aron /news/practice/industrial-animal/8393#comment-614 Wed, 28 Aug 2013 15:54:32 +0000 http://www.dailyvet.co.kr/?p=8393#comment-614 마지막으로 해양수산 연구사에 수의사가 채용될수있도록
해양수산연구사 해당자격증에 수의사가 포함되도록
연구직및 지도직 공무원의 임용에 관한규정 개정될수 있도록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글쓴이: Aron /news/practice/industrial-animal/8393#comment-613 Wed, 28 Aug 2013 15:51:01 +0000 http://www.dailyvet.co.kr/?p=8393#comment-613 학생들에게 다양한 임상경헌을 하게하는것은 학교의 책임이라고 생각 됩니다.
그러나 현재의 수의대는 포유로 그것도 반려 동물위주의 임상경험만 강조할뿐 그이외 어류분야의 임상은 관심밖입니다.

현재 각 수의대에 어병을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교수가 있는 학교는 거의 없는 실정입니다.

그러다 보니 어류에 대한 국가병성감정기관으로 지정된곳이 한 곳도 없습니다.

현재 수생동물 분야는 전세계 수의계에서 새로운 블루 오션분야로 떠오릅니다.
또한 세계수생동물 수의사회도 만들어져있습니다. (http://www.wavma.org: 한국은 미가입)

이러한 내용을 더욱더 많은 학생들에게 알려주어 관심을 가지도록 하는것이 필요할것 같습니다.

]]>
글쓴이: 익명 /news/practice/industrial-animal/8393#comment-478 Sun, 04 Aug 2013 04:55:54 +0000 http://www.dailyvet.co.kr/?p=8393#comment-478 맞습니다. 수의학과에 수생생물 관련 전공을 더욱더 강화해야 합니다.

]]>
글쓴이: 넙치 /news/practice/industrial-animal/8393#comment-410 Thu, 25 Jul 2013 04:46:49 +0000 http://www.dailyvet.co.kr/?p=8393#comment-410 일단은 해양수산연구사로 수의사 출신들도 임용하도록 개정을 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