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고병원성 AI 돋보기②] 원 그리기 방역에서 농장별 대응 시나리오로 /news/prevention-hygiene/141437 소통하는 수의사 신문 데일리벳 Sun, 17 Jan 2021 08:39:50 +0000 hourly 1 https://wordpress.org/?v=6.4.5 글쓴이: jwillyoon /news/prevention-hygiene/141437#comment-59571 Sun, 17 Jan 2021 08:39:50 +0000 /?p=141437#comment-59571 1종 전염병 모두에 대해 현장 수의사는 참여하지 않는 방역이 근원적인 문제인 거 같습니다. 현장은 없고 행정만 있는 방역이죠. 코로나로 비유하자면 의사들은 전부 멈춰있고, 공무원들이 진료하고 행정하는 꼴입니다. 모든 문제는 여기서 출발한게 아닐까요?

]]>
글쓴이: 라라 /news/prevention-hygiene/141437#comment-59497 Thu, 14 Jan 2021 16:15:38 +0000 /?p=141437#comment-59497 ㅇㅇㅇ의 응답.

코로나로 많은분들이 직장을 잃었는데, 공무원이 아니라 외주를주고 일시키고 정부에서는 확인만하면될듯 하네요. 농장별 방역등급을 정하고 각농장별로 발생시 시나리오를 작성하면 발생시 대응도빨라지고, 무엇보다 농장들이 방역에 미리미리 좋은 방역등급을 받기위해 노력할듯하네요. 지금은 방역 아무리잘해도 주변농가터지면 무조건 살처분이니 방역은 신경 덜쓰거든요. 방역등급은 적어도 조류독감 발생전 11월전에 끝내놔야 효과있겠네요

]]>
글쓴이: 차도사 /news/prevention-hygiene/141437#comment-59485 Thu, 14 Jan 2021 08:48:21 +0000 /?p=141437#comment-59485 ㅇㅇㅇ의 응답.

그러게요

]]>
글쓴이: ㅇㅇㅇ /news/prevention-hygiene/141437#comment-59479 Thu, 14 Jan 2021 07:51:30 +0000 /?p=141437#comment-59479 근데 그걸 판단하는건 누가 하나요? 지금도 일에 치여서 중앙부처든 지자체든 쩔쩔 매고 있는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