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서울 용산 동물보호소 고양이에서 H5N1형 고병원성 AI 발생 /news/prevention-hygiene/189609 소통하는 수의사 신문 데일리벳 Wed, 03 Jan 2024 01:00:40 +0000 hourly 1 https://wordpress.org/?v=6.4.5 글쓴이: 공뭔ㅂㄷㅂㄷ? /news/prevention-hygiene/189609#comment-82099 Fri, 28 Jul 2023 10:28:18 +0000 /?p=189609#comment-82099 ㅎㅎ의 응답.

무려 7년전 사례보고 가지고 23년에 뭔소린지…
심지어 연구논문도 아니고 석사급 케이스리포트..
1저자가 갓 입사한 석사 연구사인듯.

그럼 역학관계는 어떻게 되는지, 전파우려가 있는지 등등
결론에 그 흔하고 뻔한 퍼더스터디 필요 어쩌고..이말도 없는.. 단순 케이스리포트.

글고 한심2야.. 모니터링이나 검사를 해야 있는지 없는지를 알지 7년전에 특정 지역에서 케이스리포트 하나 만들려고 한거 말고는 한게 없는데 뭔 매년 안나와…

이미 7년전에 그랬고 위험성이 있었으면 적어도 모니터링이라도 했어야 한다는 말이잖아… 동물을 안데려왔는데 어떻게 아냐는 한심한 소리 하지 말고 모니터링이 뭔지를 좀…

]]>
글쓴이: 한심2 /news/prevention-hygiene/189609#comment-82097 Fri, 28 Jul 2023 09:32:38 +0000 /?p=189609#comment-82097 ㅎㅎ의 응답.

고양이에서 매년 나오지 않음. 뭐 어디 홍콩사시나.
검본으로 사체 엊그제 가서 부검하고 조사하고 있는데 어떻게 더 먼저 봄?
동물병원에 안 온 동물이 아픈지 알 수 있는 방법이 있으면 알려주세요.
역학조사에 대한 환상이 있으신가 본데 수의사 뭐 어디 교수 할애비가 와서 역학조사해도 습득할 수 있는 정보가 제한되기 때문에 길고양이가 야생조류를 처먹어서 그런지 오염된 고기를 처먹어서 그런지는 어차피 알기 어려움.
검역본부가 어디 지점에서 어떻게 부끄러워야 되는지 모르겠네.
그냥 공무원 욕이 하고 싶다고 해요. 그리고 민간인입니다.

]]>
글쓴이: 벳벳 /news/prevention-hygiene/189609#comment-82094 Fri, 28 Jul 2023 08:39:28 +0000 /?p=189609#comment-82094 안녕하세요 혹시 반려견이 걸리는 질병 종류 마다 유병률 자료는 없나요??

]]>
글쓴이: ㅇㅇ /news/prevention-hygiene/189609#comment-82093 Fri, 28 Jul 2023 08:34:11 +0000 /?p=189609#comment-82093 ㅎㅎ의 응답.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6256404/
이미 2016~2017 HPAI 때 발생한 고양이 감염 사례 보고하고 있는데요?
해외 가축전염병 발생동향은 대한수의사회지와 웹사이트에 게재되어 있으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애요
https://www.qia.go.kr/listwebQiaCom.do?type=1_5hwwsdx&clear=1
검역본부에 대한 불신이 가득하신건 알겠지만 무지성 비난은 자제합시다

]]>
글쓴이: 응? /news/prevention-hygiene/189609#comment-82091 Fri, 28 Jul 2023 08:15:16 +0000 /?p=189609#comment-82091 ㅎㅎ의 응답.

검역본부에 근무하는 6년제 공뭔인가 ㅋㅋ

확진은 이미 매년 겨울마다 발생중.
그럼 역학조사를 통해 원인, 특히 매개체 등을 조사해야함.
널린게 길냥이고 해외 감염 사례 및 농장 환경을 고려하면 당연히 조사를 할 수 있음.
무엇보다 임상에서는 HPAI 볼일이 거의 없음.
보더라도 검역본부에서 먼저 보고 먼저 다뤄져야한다는 생각은 안들어요??
부끄러운줄 알길…

]]>
글쓴이: 한심 /news/prevention-hygiene/189609#comment-82078 Fri, 28 Jul 2023 01:56:23 +0000 /?p=189609#comment-82078 ㅎㅎ의 응답.

검역본부랑 지역 동물병원이랑 카톡이라도 하는 사인가요
로컬 임상의가 확인해서 민간검사기관에 의뢰를 했는데 검역본부가 그걸 어떻게 아나요 국정원이라도 모르겠네.
동물병원에 동물을 안데리고 왔는데 수의사가 우리동네에 아픈 애가 있는지 알아야 되나요
확진이 안났는데 역학조사결과는 벌써 어떻게 나옵니까

“대체…”씨는 검역이랑 방역도 구별못하면서 6년제 타령은..ㅉㅉ 6년제가 봐도 창피하다

]]>
글쓴이: jeong944116 /news/prevention-hygiene/189609#comment-82066 Thu, 27 Jul 2023 15:32:53 +0000 /?p=189609#comment-82066 사설보호소도 검사해야하지만 불법개농장,불법도살장,불법번식장 부터 검사를 해야죠.사설보호소 애기들은 대부분 이런 비위생적이고 불법적인 곳에서 구조된 경우이니까요.각 지자체에서 파악하고 있는 저런 불법적인곳 먼저 검사하세요.저런곳의 애기들은 병원치료를 전혀 안하지만 사설보호소는 그래도 애기들을 정기적으로 병원검사 진료를 하니까요.

]]>
글쓴이: 대체... /news/prevention-hygiene/189609#comment-82053 Thu, 27 Jul 2023 07:19:26 +0000 /?p=189609#comment-82053 ㅎㅎ의 응답.

‘지역 동물병원을 통해 민간검사기관에 검사가 의뢰됐다.’… 로컬 임상수의사가 공뭔보다 낫구나.. 대체 ‘검역’본부에서 ‘검역’업무를 못하면 어쩌자는…

아무리 4년제라도 임상은 능력있고 인정받는 4년제 출신들 많은데 공뭔은 왜 저 모냥인지…

]]>
글쓴이: ㅎㅎ /news/prevention-hygiene/189609#comment-82020 Thu, 27 Jul 2023 00:43:35 +0000 /?p=189609#comment-82020 이쯤되면 농림부에 검역정책과장도 수의직이 하면 안될듯… 어휴…
검역본부장도 행시출신으로 바뀌었으니 역학조사과나 방역감시과에 있는 수의직들도 어서 갈아치워야 정상화가 되려나…
적어도 역학조사과에서는 관련 보고서가 이미 나왔어야지…
기사보고 뒷북치는 꼴이라니… 한심…
수의직이 해야할 일을 차라리 수의직 대신 행시출신이 더 낫다는 말이 나오는게 부끄러움.
지방직들 니들이 길고양이를 잘 관리안해서 그런거시다…라고 할듯..ㅋㅋㅋ

]]>
글쓴이: ㅇㅇ /news/prevention-hygiene/189609#comment-82017 Wed, 26 Jul 2023 15:56:18 +0000 /?p=189609#comment-82017 동물청이 빨리 만들어져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