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고양이 고병원성 AI 계기로 반려동물 방역 논의해야” /news/prevention-hygiene/193277 소통하는 수의사 신문 데일리벳 Thu, 21 Sep 2023 17:17:49 +0000 hourly 1 https://wordpress.org/?v=6.4.5 글쓴이: 오탈!쿠 /news/prevention-hygiene/193277#comment-84109 Thu, 21 Sep 2023 17:17:49 +0000 /?p=193277#comment-84109 이진환 학생 (건국대 수의학 4) -> 이진환 학생 (건국대 수의대 본4)

]]>
글쓴이: ㄴㅂㅅ /news/prevention-hygiene/193277#comment-84074 Thu, 21 Sep 2023 05:25:34 +0000 /?p=193277#comment-84074 반려동물이 아니라 길고양이가 문제다. Tnr이 효과 없다는 건 수의사들이 더 잘 알텐데 사료 뿌려대는 행위를 법으로 근절시키지 않으면 역대급 재앙이 일어날 거다. 인수공통감염 발생시에는 캣맘에게 손해배상 청구해야 한다.

]]>
글쓴이: ㅎㅇ /news/prevention-hygiene/193277#comment-84059 Thu, 21 Sep 2023 02:16:35 +0000 /?p=193277#comment-84059 나름 의미있는 자리였나보군요.

감염 원인을 사료로 특정하기엔 용산구 사례와 사료를 통한 다른 감염 사례가 없었다는 점에서 그 근거가 미약하죠.

반려동물과 가축에 대한 방역 관점은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적어도 지금처럼 반려 미니 돼지는 살처분되고 고양이는 면하는 어이없는 행태는 개선되어야 할 것입니다.
무엇보다 동물 보호와 방역 위험이 충돌할 때 어디까지나 우선되어야 할 건 사람이라는 점은 당연하겠구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