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경기도마저 가축방역관 모집 미달 전망..방역업무 개편 나서야 /news/prevention-hygiene/210813 소통하는 수의사 신문 데일리벳 Mon, 13 May 2024 14:01:12 +0000 hourly 1 https://wordpress.org/?v=6.4.5 글쓴이: 비수의사연구사 /news/prevention-hygiene/210813#comment-93363 Mon, 13 May 2024 14:01:12 +0000 /?p=210813#comment-93363 그건 검역본부에서나 통하는 말입니다.

거기는 세균과, 바이러스과 다 분리되어 있잖아요.

당연히 그러니 세균 전공자가 세균만 봐도 되는 거고,

바이러스 전공자가 바이러스만 봐도 되는 겁니다.

그런데 검역본부가 아닌 다른 방역기관에서는 분리가 안되어 있잖아요.

그러니 종합적인 사고 판단을 해야 하는 데,

만약 본인이 수의사 아니라서 세균만 보겠다고 하면 그냥 테크니션 밖에 안되는 거빈다.

테크니션으로 연구사 공개 모집할 생각인가요?

그냥 그럴거면 기간제근로자나 더 뽑으시면 됩니다.

검역본부니까 각 파트가 세분화되어 나뉘어져 있느니까
해당파트에 관한 업무만 처리해도 되기 때문에 비수의연구사가 활동할 수 있는 거지,

광역지자체에 속한 방역기관에서는 그게 불가능합니다.

단순 그거 할거면 그냥 테크니션이나 더 모집하는 게 나아요.

]]>
글쓴이: 우제석 /news/prevention-hygiene/210813#comment-92298 Fri, 26 Apr 2024 05:48:24 +0000 /?p=210813#comment-92298 수의사가 농장에가서 안전하게 일할수있는 소보정시설설치 없이 수의사의 안전은 없다 그러니 퇴사!

]]>
글쓴이: 탈출이답 /news/prevention-hygiene/210813#comment-92220 Wed, 24 Apr 2024 13:26:01 +0000 /?p=210813#comment-92220 졸업하고 시험소로 간다고하면 병1ㅅ 취급함 ㅋㅋ
요즘 공방수도 인기없고 육군으로 빨리 갔다오는게 답이고
돈도 아무리 올려준다고해도 한계치가 명학하고 처음에는 공뭔이 돈 더 주는거 같지만 5년 지나면 병원으로 빠진 애들이 더 많이 벌고있고 답 없다 ㅋㅋㅋ

]]>
글쓴이: 문제점 /news/prevention-hygiene/210813#comment-92216 Wed, 24 Apr 2024 12:00:17 +0000 /?p=210813#comment-92216 1) 농식품부 및 검역본부 : 현재 모든 가축방역을 위한 검사 최소화해야….외국에도 이렇게 많은 검사를 하는지…이렇게까지 해야 하는지….쓸데없는 검사 하지 말자….백혈병같은거….
그리고 시료채취 영억은 방역사와 민간 수의사에 전면 일임하자

2) 동물위생시험소 – 수의사 의 전문 영역을 스스로 지키자..
공무직이 실험업무 전반을 담당토록 하자…총괄적인 지도관리는 당연히 수의직이 하여야

3) 시군….수의직 없애든지 하자… 중앙부처든 광역시도 소속 직원을 시군에 파견하든지….뭐하든지…….5급 상당의 방역전문관을 각 시군 센터에 위치시키던지..

뭐…누가 좀 큰 그림 그려주라…

]]>
글쓴이: 문제 /news/prevention-hygiene/210813#comment-92215 Wed, 24 Apr 2024 11:49:47 +0000 /?p=210813#comment-92215 문제점의 응답.

도축검사 뿐만 아니라 위험도 평가, 역학조사, 농가 방역지도점검, 검사결과 최종 판독의 주체는 수의사가 되어야 함.
– 이러한 분야를 중점적으로 전문가로서 역량을 키워야 하지 않을까?

그냥 변화없이 있다보면 그냥 이러다 죽어가는 조직이 되겠지!

항상 생각한다.
수의사가 정말 필요할까?????
피 뽑는거 방역사들이 더 잘하고
진료….축산경력이 좀 있는 농가가 더 잘한다카고
방역지도점검………일반직들도 다 시키고…메뉴얼 만들어 놓으니 아무나 다 할줄 안다 생각하고
역학조사……..방역업무 오래한 축산직이 더 아는 척하고
도축검사……..검사원들만 있어도 될 거 같은데..

수의직 왜 필요할까요?

]]>
글쓴이: 문제점 /news/prevention-hygiene/210813#comment-92212 Wed, 24 Apr 2024 11:42:43 +0000 /?p=210813#comment-92212 1) 국가, 지방(도, 시험소, 시군) 조직에 대한 수의사들의 업무 명확하하여야 함
– 예로 시험소를 예로 들면, 수의직,행정직, 공무직, 공방수 여러 계층이 존재하고 인력은 10년전과 비교해 보면 많이 늘었으나, 수의직외는 크게 책임질 일도 없고 업무영역의 한계를 정하기 때문에, 기타 모든 업무는 수의직이 해야 하는 웃픈 현실
– 공무직은 하루 1~2시간 일하고 놀고 있고, 공방수는 3년 있다 갈거라 공무직화되어가고 말이죠!
– 보건환경연구원에서 보건연구사의 역할은 결과 판독하고 최종적인 역할을 하면서 공무직들이 실험, 잡무 등을 보조하는 시스템인데 반해 수의직들은 현장, 실험, 행정 모든 업무를 다 해야 하는 현실

2) 여러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전국적으로 수의조직의 큰 그림을 그리며 총괄할 수 있는 헤드가 부재(농식품부에 희망을 버린지 오래고, 그나마 대수에서 최선을 다하나 한계 봉착)

3) 시험소 -> 시료채취의 영역은 민간수의사와 방역사들에게 전담, 실험업무는 공무직이 맡아야 함. 수의직은 각 영억에서 리더로서 진두지휘하며, 농가에 대한 방역점검과 지도 역할을 전담해야
– 현재 모습을 보자!….수의직이 현장에서 하는 일은…..오리농장 가서 분변 채취, 결핵하면 땀 뻘뻘 흘리며 채혈하고…….그러고 농가에 감사하다 하며 인사하고 온다.
과연 수의사가 피를 뽑는 흡혈귀가 아닐진데…
수의사는 농장주와 면담하며 방역관리의 문제점읋 지적하고 고쳐나갈 수 있도록 농가 지도하고 현장의 문제점을 파악하여야 한다.
현장 인력을 감안하지 않고 너무나 많은 검사물량…..시험소 직원들은 시료채취하면 하루가 다 다고…..그러다 보니.,…일용잡부가 되어 가는 현실….

—누가 이 조직의 문제를 개선하고 고쳐 나갈 수 있을 것인가..

단순히 수당, 승진만을 탓할 것이가?

수의사의 업무 영역을 명확화, 컴팩트한 조직으로 개선하고…..그 후에 그에 걸맞는 수당으로 상향해야는 것이 아닐까??

날로 늘어나는 가축전염병, 끝도 없이 늘고 줄어들지 않는 검사 물량, 정말 이렇게까지 검사물량이 늘어나야 하는 것인가? 누가 이 악순환의 고리를 끊어줄 것인가?

]]>
글쓴이: 방역정책국인지 뭔지 /news/prevention-hygiene/210813#comment-92205 Wed, 24 Apr 2024 08:25:10 +0000 /?p=210813#comment-92205 일을 엿같이 만들어서 다 관두게 하려는 수작을 할거면 좀 빨리 ㅈㄹ맞게 해라.. 그래야 죄다 관두지.

]]>
글쓴이: 신혼생활중 /news/prevention-hygiene/210813#comment-92204 Wed, 24 Apr 2024 07:58:34 +0000 /?p=210813#comment-92204 제발 진짜 아무리 천하디 천한 수의사라고 하지만 9급한테 역전당하는 일은 없게 해주면 안되나요? 나름 노력 많이해서 수의대가고, 학점따고 국시 통과해서 수의직 공무원 되면 만년 6급에 퇴직 직전 5급 달까 말까라던데…. 진짜 9급출신 이랑 무슨 차이가 있냐고 물어보기도 민망한게 시군은 9급 출신들이 더 진급잘하고 더 실세라면서요….. 9급이랑 동급도 아니고 사실상 인생을 9급보다 한급 낮게 살아야 하는데 무슨 수의사고 나발이고가 필요합니까…. 이따위 처우로 뽑을 거면 수의사라는 직업을 제발 대한민국에서 삭제해주세요.

]]>
글쓴이: ㅇㅇ /news/prevention-hygiene/210813#comment-92203 Wed, 24 Apr 2024 07:11:43 +0000 /?p=210813#comment-92203 젊은 애들한테 손절당하면 진짜 답이 없어요. 아예 진로 방향에서 고려조차 안 하고 수의직 공무원이란 게 있는지조차 모를 정도로 관심도 없더라구요. 물어보면 ? 수의사 면허를 땄는데 공무원을 왜 함? 수준임. 이제 젊은 수의사들은 공직을 원하지도 않고, 공직에 대해 알아볼 생각도 없고, 공직이 망해도 상관이 없음. 소위 말하는 알빠임? 상태에요.

]]>
글쓴이: 지나가다가 한줄 /news/prevention-hygiene/210813#comment-92194 Wed, 24 Apr 2024 02:23:10 +0000 /?p=210813#comment-92194 1. 수의직 임용 직급 상향과 동시에 수당을 월 100만원 인상

2. 가축전염병예방법 제7조제6항을 의무사항으로 변경
법제7조제6항 “가축방역관을 두는 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가축방역관의 기준 업무량을 고려하여 그 적정 인원을 배치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를 가축방역관을 두는 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가축방역관의 기준 업무량을 고려하여 그 적정 인원을 배치하여야 한다” 로 개정 : 법을 지키기 위하여 시장 군수가 대책을 세울 것임

3. 가축질병은 자연재해가 아닌 사회재난형 재해로 인식하고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시군에서는 업무를 사업소로 이관하지 말고 본청에서 업무 수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