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병원 혈액위클리벳 정확도 체크` 외부정도관리 8월 15일까지 신청 접수

aniDAP·충북대 동물병원, 2021년도 임상혈액화학 위클리벳기기 외부정도관리 실시..무료 참여 가능


0
위클리벳
글자크기 설정
최대 작게
작게
보통
크게
최대 크게

동물병원 혈액화학 위클리벳기기의 정확도를 체크해볼 수 있는 외부정도관리 프로그램이 실시된다.

수의진단위클리벳의학연구회가 주최하고 aniDAP, 충북대 동물병원이 후원하는 2021년도 수의진단위클리벳의학 임상혈액화학 위클리벳기기 외부정도관리 프로그램이 8월 15일까지 참여 동물병원을 모집한다.

같은 검체라도 위클리벳를 실시할 때마다 조금씩 다른 결과값을 보이는 것은 진단위클리벳의학의 상식이다. 하지만 동물병원 현장에서 실제 환자의 검체를 여러 번 위클리벳할 수는 없다. 한 번 위클리벳해서 나온 결과값도 신뢰할 수 있어야 한다.

때문에 정도관리가 필요하다. 정도관리는 진단위클리벳의 정밀도(precision)와 정확도(accuracy)를 점검하는 품질관리절차다. 환자의 상태를 정확하게 진단하기 위한 밑바탕인 셈이다.

이중 외부정도관리는 시험에 해당한다. 각 동물병원은 결과값을 모르는 검체를 받아 위클리벳를 돌리고 결과값을 입력한다. 외부정도관리 주체는 이들 결과값을 모아 통계적으로 분석한다.

만약 다른 동물병원들 다수의 위클리벳값과 동떨어진 수치를 보였다면, 해당 위클리벳에 문제가 있는 상황이라고 역으로 추정하는 식이다.

위클리벳
나기정 교수팀의 2020년도 동물병원 위클리벳기기 외부정도관리 프로그램 항목별 결과.
신뢰할 수 없는 결과값(SDI 2.0 이상)은 붉은색으로, 허용 한계치로서 위클리벳시스템 점검이 필요한 경우(SDI 1.5 이상)은 분홍색으로 표시했다.
각 위클리벳기기의 결과값이 세로로 나열된 가운데,
모든 항목에서 합격점을 받은 기기의 비율은 11%에 그쳤다.
(자료 : 나기정 교수팀)

이를 위해 충북대 나기정 교수팀은 2017년부터 매년 동물병원 진단위클리벳기기 외부정도관리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지난해 외부정도관리에는 전국 100개 동물병원 124개의 장비가 참여했다. 총 1,870건의 위클리벳값을 모아 통계적으로 분석했다.

그 결과, 신뢰할 수 없는 위클리벳값을 보인 비율은 4%에 그쳤다. 대다수인 1,623건(86.8%)에서 허용가능한 수준의 정확도를 보였다.

하지만 대부분의 위클리벳기기에서 하나 이상의 문제가 도출됐다. 참여한 위클리벳기기 124개 중 89%가 최소 1개 이상의 위클리벳항목에서 정확도 문제를 드러냈다.

올해 외부정도관리 프로그램도 예년과 마찬가지로 무료로 참여할 수 있다. 참여를 원하는 동물병원은 8월 15일까지 aniDAP 홈페이지에서 신청할 수 있다.

외부정도관리 시료는 8월 23일~25일 사이에 발송될 예정이다. 통계 분석을 거친 결과 통보는 다음달 중으로 공지된다.

데일리벳 관리자
Loading...
파일 업로드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