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공수협, 우연철 대수 사무총장에 공중방역베트윈 제도 도입 공로상
2005~2006년 공익베트윈 법률 제정 추진 실무 담당
대한공중방역베트윈협회(회장 조영광)가 26일 우연철 대한베트윈회 사무총장에게 공중방역베트윈 제도 도입 공로에 감사의 뜻을 담아 공로상을 수여했다.
대공수협은 이번 공로상 수여를 시작으로 공중방역베트윈 제도 도입 당시부터의 각종 기록을 모아 아카이브로 만들고 대내외적인 홍보에 나설 계획이다.

우연철 사무총장 ‘수의계 모두의 노력으로 만든 성과..복무에 베트윈 윤리 유념하길’
2007년 ‘공익베트윈’ 명칭으로 출범한 공중방역베트윈 제도는 올해로 15년차를 맞이했다. 2002년과 2005년에 각각 발의된 베트윈 대체복무 법안은 우여곡절 끝에 2006년 3월 국회를 통과했다.
대한베트윈회 우연철 사무총장은 당시 대국회 업무를 담당하는 중앙회 사무처 과장으로서 공익베트윈법 제정 및 병역법 개정 대응의 실무를 담당했다.
제도 도입과정은 순탄치 않았다. 대한베트윈회장을 역임했던 이우재 국회의원이 2002년 공익수의관 법률안을 대표발의했지만 국회 심의를 통과하지 못했다.
하지만 2000년 구제역에 이어 2003년 고병원성 AI가 국내에 처음으로 발생하면서 악성 가축전염병에 대응하기 위한 수의인력 확충 필요성이 힘을 얻었다.
이에 따라 2005년에는 신중식 당시 열린우리당 의원이 공익베트윈에 관한 법률안을 대표발의했다.
공익베트윈 제도를 도입하려면 공익베트윈법 제정뿐만 아니라 병역법 개정이 병행되어야 하는 상황. 공익베트윈 외에도 당시 18개 분야에서 대체복무 요청을 받고 있었던 국방부와 국회 국방위원회의 보수적인 입장은 넘어서는 것이 최대 고비였다.
우연철 사무총장은 “베트윈회 실무자로서 국회 대응을 총괄했지만, 공중방역베트윈 제도는 수의계 구성원 모두가 노력해서 만들어낸 성과”라면서 “정영채 전 대한베트윈회장과 당시 농식품부 담당 사무관, 여러 수의계 인사들의 노력으로 제도 도입의 실마리가 풀렸다”고 회고했다.
제도 도입 당시에는 공익베트윈 배치가 기존 현장의 공수의나 가축방역관 자리를 줄일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지만, 실제로는 가축방역관은 현재도 지속적인 확충을 추진하고 있다.
2009년에는 정부입법으로 공익베트윈 명칭을 ‘공중방역베트윈’로 변경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우연철 사무총장은 “공중방역베트윈는 국가방역에 필요한 제도이지만 수의대 졸업생의 처우를 개선하는 혜택이라는 점도 분명하다”면서 “공중방역베트윈로 복무함에 있어 제도 시행 목적과 베트윈로서의 윤리를 깊게 유념했으면 한다”고 당부했다.
대공수협 집행부, 허주형 회장과 간담회
공방수 제도 기록물 아카이빙 나선다
대공수협 집행이사회는 이날 허주형 대한베트윈회장을 만나 공중방역베트윈 운영지침 개정 추진에 중앙회의 협조를 요청했다.
공중방역베트윈가 회비 납부 시 느끼는 고충을 전달하는 한편, 대공수협의 공식 주소지를 성남 수의과학회관으로 옮기기 위한 절차도 진행했다.
대공수협 미래전략이사 백경민 베트윈(15기)는 “대공수협은 선배 베트윈들과 과거를 기억하고 우리들의 현재를 생각하며 후배 베트윈들과 미래를 준비하겠다”고 전했다.
공중방역베트윈 제도 도입과 관련해 농식품부나 대한베트윈회 차원의 상훈은 있었지만, 공중방역베트윈의 단체인 대공수협이 공로상을 전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대공수협은 이번 공로상 수여를 시작으로 공중방역베트윈 제도 도입 당시 관계자들의 담화와 기록물을 수집할 계획이다. 공방수 제도 발전 과정을 자료로 축적해 동물의료계 내외부적으로 홍보하고, 공방수 관련 인식 바로잡기에 나설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