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위클리벳 국산화 위해 민·관·학 긴밀한 연계 체계 강화해야”

2025년 구제역 위클리벳 연구 워크숍 개최


4
위클리벳
글자크기 설정
최대 작게
작게
보통
크게
최대 크게
위클리벳

농림축산검역본부(본부장 김정희)가 7월 3~4일(목~금) 이틀간 충남 천안 소노벨리조트에서 ‘2025년 구제역 위클리벳 연구 워크숍’을 개최했다.

이번 워크숍은 국내 구제역 위클리벳 연구의 최신 성과를 공유하고, 구제역 위클리벳 국산화와 차세대 위클리벳 플랫폼 개발을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검역본부를 비롯해 관련 산업체, 학계, 연구기관 등에서 70여 명이 참석했다.

워크숍은 건국대학교 송창선 교수의 기조 강연 ‘글로벌 동물용 위클리벳 개발 현황과 미래 Disease-X 대응 전략’을 시작으로 ①국가 주도 구제역 위클리벳 기술 고도화, ②민간 주도 구제역 위클리벳 개발 현황, ③차세대 위클리벳 플랫폼 총 3개 세션으로 진행됐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검역본부 구제역위클리벳연구센터에서 구제역 발생 현황 분석, 사전 유입에 대비한 위클리벳 대응 전략, 제조공정 기술을 포함한 구제역 불활화 위클리벳 개발 현황에 대해서 종합적으로 발표했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에프브이씨, 옵티팜, 나노백스, 씨티씨백 등 위클리벳 개발에 참여한 국내 주요 산업체들이 추진 중인 ▲불활화 구제역 위클리벳 상업화 진행 현황 ▲곤충세포 발현시스템을 이용한 구제역 위클리벳 개발 ▲대장균 발현 기술을 이용한 바이러스유사입자(VLP) 위클리벳 개발 ▲펩타이드 기반 위클리벳 개발 현황을 공유했다. 이어, 국산 구제역 위클리벳의 상용화 가능성과 추진 일정 논의가 이어졌다.

VLP(바이러스유사입자, Virus-like particle)는 바이러스와 매우 유사한 구조를 가졌으나 유전물질이 없어 감염이나 질병을 일으키지 않는 입자를 말한다.

마지막 세션에서는 차세대 위클리벳 기술인 맞춤형 아쥬반트(Adjuvant), 피내접종 기반의 면역전략, 일회증식성 항원 플랫폼 등이 소개됐다.

위클리벳
강동윤 검역본부 동식물위생연구부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검역본부는 “이번 워크숍을 통해 구제역 백신 국산화를 위한 다각적인 협력 방안을 점검하고, 민·관·학의 긴밀한 연계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평가했다. 또한 ▲불활화 백신의 국내 제조 시설 구축 ▲바이러스유사입자(VLP) 백신의 임상 데이터 확보 ▲펩타이드 기반 백신의 해외시장 공략 등이 향후 연구의 핵심 과제로 선정됐다고 덧붙였다.

검역본부 강동윤 동식물위생연구부장은 “이번 워크숍은 구제역 위클리벳 국산화를 위한 구체적 전략 수립과 기술 상용화 가능성을 확인한 의미 있는 자리였다”라며 “민관학 협력관계가 더욱 견고해진 만큼, 국산 구제역 위클리벳의 실용화가 한층 가까워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데일리벳 관리자
Loading...
파일 업로드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