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중소형 동물병원의 매출은 정말 떨어졌을까? /news/practice/companion-animal/245848 소통하는 수의사 신문 데일리벳 Thu, 15 May 2025 05:10:29 +0000 hourly 1 https://wordpress.org/?v=6.4.5 글쓴이: ㅇㅅㅇ /news/practice/companion-animal/245848#comment-106361 Thu, 15 May 2025 05:10:29 +0000 /?p=245848#comment-106361 지나가던 원장의 응답.

엥 그럼 데일리벳 기고문보다도 부정확한 서비스를 돈받고 파는거?

]]>
글쓴이: 1인수의사 /news/practice/companion-animal/245848#comment-106353 Thu, 15 May 2025 03:57:27 +0000 /?p=245848#comment-106353 지나가던 원장의 응답.

저거 우리엔 인사이트 가입회원들꺼만 통계낸걸로 압니다.
저도 우리엔 쓰지만 저기 가입안했어요. 돈 드니까…
그러니 실제론 어느 정도 되는 곳들이나 신규들이 많이 가입했을거에요.
대다수 하꼬방은 가입 잘 안해요 돈드니까…

그러니 총 540개죠.
우리엔 가입자가 540개뿐일리가 없자나요 ㅎㅎ

]]>
글쓴이: 지나가던 원장 /news/practice/companion-animal/245848#comment-106351 Thu, 15 May 2025 03:38:11 +0000 /?p=245848#comment-106351 안녕하세요, 동물병원 원장입니다. 궁금한게 있어서 여쭤봅니다. 연도별 월매출 평균 개소수에
2022년 기준,

2억초과 77
2-1억 84
1억-6천 63
6천-3천 99
3천이하 217
합계 540

으로 되어있는데, 혹시 이 그룹별 병원갯수 산정비율로 추정해보면, 동물병원 매출 기준으로 5천매출이면 하위 42프로에 해당된다고 봐두 되는 걸까요?
동물병원 월매출 5천정도면 다른 동물병원과 비교해서 어느정도 되는지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통계에서 확인이 힘든 부분이라서 여쭤봅니다.

]]>
글쓴이: Dxx /news/practice/companion-animal/245848#comment-106323 Wed, 14 May 2025 20:28:10 +0000 /?p=245848#comment-106323 행인2의 응답.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학부생닉답네 ㅋㅋㅋㅋㅋ 원장이면 다 농대냐 ㅋㅋㅋㅋ 11학번이지만 안타깝다

]]>
글쓴이: 행인3 /news/practice/companion-animal/245848#comment-106318 Wed, 14 May 2025 12:28:05 +0000 /?p=245848#comment-106318 행인2의 응답.

네 그래야 겠지요. 앞으로는 더 처참해지지 않을까 싶어요. 큰 병원이 계속 생기고 검사의 중요성도 보호자들이 알아가잖아요. 이제는 치료도 누가하느냐에 대한 필요성도 알아가겠고요.

어린 개고양이가 많을때야 무지성 치료로도 동물이 스스로 나을수 있었죠. 아니면 10년전만해도 치료시기를 놓쳐 생긴 합병증으로 죽어도 내 병원에서 죽어서 보호자에게 걸릴일 없고 잘 넘어갔잖아요.

그런데 지금은 노령동물도 쌓이며 질병이 다양해지고, 내가 놓치면 야간이나 옆병원에 방문하고 진단되면 바로 컴플레인 걸리고 나는 잔돈이나받고 지폐를 보호자에게 내줘야 하잖아요.

본인들 불리할때는 동물은 말을 못해서 검사가 많이 필요하다면서 얼마나 대단하길레 혼자서 모든 과를 통달해 검사와 진단 치료까지 다 하는지 신기하던데 정상화되는 과정으로 생각해요. 다만 시장이 작고 거지들이 주로 키우는 시장특성상 몇억씩 벌던 사람들이 몇천으로 내려오면서 거품이 꺼지지 않을까 싶고요.

]]>
글쓴이: 행인2 /news/practice/companion-animal/245848#comment-106305 Wed, 14 May 2025 03:44:45 +0000 /?p=245848#comment-106305 1인 병원 원장으로서 23, 24년 통계가 나오면 처참할거라고 확신합니다.
22년까지는 좋았어요.

]]>
글쓴이: 지나가는행인 /news/practice/companion-animal/245848#comment-106303 Wed, 14 May 2025 02:52:58 +0000 /?p=245848#comment-106303 감사합니다 수의사님. 자극적인 타이틀의 기사는 잘 안 믿는 편이지만.. 생계와 직결되어 있다 보니 더 관심있게 봤던 기사입니다. 분석해 주신 내용 기반으로 더 명확하게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기업들이 이런 통계기반 내용을 기사로 다룰 때, 좀 더 팩트를 기반해서 써야하지 않나 싶네요. 괜한 오해와 분란만 만드는 경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