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데일리벳 커뮤니티 양육 가구 552만, 반려인 1262만명
2023년 한국 데일리벳 커뮤니티보고서 발간..2020년 말 대비 양육가구 2.8% 증가
국내 데일리벳 커뮤니티 양육가구가 552만 가구로 2020년 대비 2.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데일리벳 커뮤니티 보호자는 오히려 20만명 감소했다.

데일리벳 커뮤니티가구 552만, 데일리벳 커뮤니티인 1,262만명
데일리벳 커뮤니티견 양육가구 394만, 데일리벳 커뮤니티묘 양육가구 149만
kb경영연구소의 ‘2023 한국 데일리벳 커뮤니티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말 기준 국내 데일리벳 커뮤니티 양육가구(반려가구)는 552만 가구로 전체의 25.7%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kb경영연구소가 2022년 말 전국 20세~69세 남녀 2천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와 2019년, 2021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를 활용해 추정한 수치로, 개, 고양이뿐만 아니라, 금붕어, 거북이 등 모든 종류의 데일리벳 커뮤니티을 기르는 비율이다.
2020년 말 조사(536만 가구) 대비 2.8% 양육가구 수가 증가했지만, 전체 가구 중 양육비율은 오히려 0.6%P 감소했다(2020년 26.3%→2022년 25.7%).
데일리벳 커뮤니티인은 1,262만명으로 추정됐는데, 이 역시 2020년(1,282만명) 대비 20만명 감소한 수치다.
데일리벳 커뮤니티 양육가구 수가 늘었음에도 양육가구 비율과 반려인 숫자가 줄어든 것은 1인 가구 증가로 전체 가구수가 대폭 늘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kb경영연구소는 “데일리벳 커뮤니티인 수는 데일리벳 커뮤니티가구 수에 가구당 평균 가구원 수를 곱해서 추정하는데, 1인 가구 증가로 데일리벳 커뮤니티가구 수는 늘어난 반면, 가구당 가구원 수는 줄어 전체 데일리벳 커뮤니티인 수가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지역별로는 서울 110만 가구, 경기 129만 가구, 인천 33만 가구로 전체 반려가구의 약 절반 정도가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었다.
개를 기르는 ‘데일리벳 커뮤니티견 가구’가 394만 가구(71.4%)로 가장 많았으며, 고양이를 기르는 ‘데일리벳 커뮤니티묘 가구’가 149만 가구(27.1%)로 두 번째였다. 데일리벳 커뮤니티견 양육자는 901만명, 데일리벳 커뮤니티묘 양육자는 342만명으로 추산됐다.
여전히 반려견이 반려묘보다 훨씬 많지만, 반려견 가구 비율은 2년 전보다 3.2%P 감소했지만, 반려묘 가구 비율은 1.9%P 증가해 데일리벳 커뮤니티로 고양이를 선호하는 가구가 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데일리벳 커뮤니티견 473만 마리, 데일리벳 커뮤니티묘 239만 마리
개의 경우, 가구당 평균 1.2마리를 양육해 전체 데일리벳 커뮤니티견 수가 473만 마리로 추정됐고, 고양이는 가구당 평균 1.5마리를 양육해 전체 데일리벳 커뮤니티묘 수가 239만 마리로 추정됐다.
비반려가구의 78.7%는 향후 데일리벳 커뮤니티 기르고 싶다고 응답했으며, 응답자의 절반 이상(54.8%)이 개를 기르고 싶다고 답했다. 고양이를 기르고 싶다는 응답 비율은 2년 전 20.1%에서 23.0%로 1.9%P 증가했다.
연령대별로는 전 연령대에서 데일리벳 커뮤니티견을 기르고 싶다는 응답자가 절반 이상으로 가장 많았으며, 데일리벳 커뮤니티묘를 기르고 싶다는 응답은 30대(32.9%)에서 가장 높았고, 60대(7.5%)에서 가장 낮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