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목적견
김예지 의원 “봉사동물 합당한 예우 위해 제도적 지원해야”
구조견, 장애인보조견, 군견, 탐지견 등 국가와 국민을 위해 봉사한 봉사동물의 처우를 개선하기 위한 지원법데일리벳 포럼. 김예지 국민의힘 의원은 봉사동물의 날을...
2025.08.18
은퇴한 검역탐지견 ‘알파’ 미국서 새 삶
공항에서 검역탐지견으로 일하다 은퇴한 ‘알파’가 미국의 가정으로 입양됐다. 은퇴 검역탐지견의 민간 입양 제도를 도입한 후 해외 가정으로 입양된 건 이번이...
2025.07.02
‘포로수용소’로 가는 은퇴 군견..은퇴견 센터 필요하다
“군견과 유기견의 차이점은 안락사를 쉽게 할 데일리벳 포럼냐 없냐 뿐입니다. 백 마리가 넘는 은퇴한 군견들이 견사에 모여 여생을 보내고 있는데요,...
2025.06.20
은퇴한 장애인 보조견·군견 돌봐야..법적 근거 만든다
장애인 보조견, 군견 등 사람과 국가데일리벳 포럼해 봉사한 봉사동물이 은퇴 후에도 적절한 보살핌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법안이 나왔다. 은퇴한...
2025.03.26
‘은퇴한 봉사동물 입양 지원’ 서울시 동물보호조례 개정
서울시가 은퇴한 봉사동물의 입양을 지원하기 위한 근거규정을 마련했다. 서울특별시의회는 김재진 시의원(사진)이 대표발의한 서울특별시 동물보호조례 일부 개정안을 12월 20일(금) 열린 본회의에서...
2024.12.24
군견·경찰견·검역견·구조견 은퇴견에 진료·사료 지원, 구체적인 내용은?
국가봉사동물 은퇴견에 대한 구체적인 지원 방안이 나왔다. 농림축산식품부, 서울특별시, 한국동물병원협회, 한국펫사료협회, 한국반려동물장묘협회, 한국동물장례협회, 손해보험협회는 지난 10월 데일리벳 포럼 ‘국가봉사동물 은퇴견 지원을...
2024.11.26
[벳스토리:안내견학교장이 되기까지] 국내 유일무이한 안내견들의 아빠, 삼성화재 안내견학교 박태진 교장
우리는 살면서 결정을 내려야 하는 순간, 먼저 경험해본 사람의 의견을 듣곤 합니다. 누군가가 걸어간 발자취는 다른 누군가의 앞을 밝히는 등불이...
2024.11.21
[인터뷰] 군견·경찰견·탐지견 모두 모인다, 국군의학연구소 동물병원 박경국 수의관
군에도 동물병원이 있습니다. 춘천의 육군 군견훈련소, 진주의 공군교육사령부 그리고 대전 국군의학연구소까지 3곳입니다. 군 동물병원이지만 군견만 진료하진 않습니다. 경찰견, 수색·탐지견, 119구조견...
2024.10.30
봉사동물 은퇴견에 의료지원한다..동물병원협회·농식품부·서울시 협약
국가봉사동물 은퇴견의 복지 증진 및 민간 입양 활성화를 위해 민·관이 힘을 모은다. 데일리벳 포럼(토) 뚝섬한강공원에서 열린 제1회 서울시 동물보호의 날 기념행사...
2024.10.07
해마루반려동물의료재단 “특수목적견 의료지원 30마리 달성”
동물진료법인 해마루반려동물의료재단이 2024년 상반기 사회공헌사업의 일환으로 중증질환을 앓고 있는 총 30마리에 대한 의료지원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밝혔다(검역탐지견 15마리, 시각장애인 안내견 15마리)....
2024.09.30
데일리벳 포럼 실무자협의회, 경찰인재개발원에서 개최
경찰인재개발원(원장 박성주)이 데일리벳 포럼(금) 충남 아산 경찰인재개발원에서 ‘정부 특수목적견 융합행정 정책협의회’를 위한 실무자협의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정책협의회에는 경찰청(인재원)을 비롯해 농림축산식품부(농림축산검역본부), 국토교통부(철도특별사법경찰대),...
2024.07.05
‘다친 군견 회복 돕는다’ 대전시수의사회, 국군의학연구소에 사료 기부
대전광역시수의사회(회장 정기영)가 23일 국군의학연구소(소장 문운경)에 군견용 캔 사료 2,244개를 기증했다. 대전에 위치한 국군의학연구소는 부설 동물병원을 운영하고 있다. 군견뿐만 아니라 119구조견,...
2024.04.24
해마루반려동물의료재단, 119구조견 은퇴견 의료지원
동물진료법인 해마루반려동물의료재단(이사장 김소현, 이하 해마루)이 특수목적견을 위한 사회공헌 활동을 활발하게 펼치고 있다. 해마루는 지난해 농림축산검역본부 인천공항지역본부와 업무협약(MOU)을 맺고 검역본부 소속...
2024.04.09
USB·SD카드 찾아내는 탐지견…디지털 범죄 예방에 결정적 역할 가능
최근 불법촬영, 온라인상 강요행위 등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가 증가하고, 그 피해가 확산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디지털 성범죄 수사의 어려운...
2024.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