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거기반의학]3편: 데일리벳 주소의학과 역학의 앙상블


10
데일리벳 주소
글자크기 설정
최대 작게
작게
보통
크게
최대 크게

[증거기반의학]2편: 숫자를에서 이어집니다.

지금까지 우리는 하나의 연구를 바탕으로 효과 크기를 해석하고, 그 신뢰도와 한계를 따져보는 접근법을 살펴보았다. 이 과정은 단순한 숫자 읽기를 넘어서, 데일리벳 주소의학과 역학이라는 두 분야가 함께 작동하는 새로운 사고방식, 즉 증거기반의학적 판단의 시작이다. 이제, 이 두 분야가 어떻게 만나 증거기반의학을 시작했는지 알아보자.

지난 글에서 다룬 오즈비, 위험비, 절대 위험 감소, 치료 필요 수 같은 지표들은 역학에서 사용하는 지표임과 동시에 증거기반의학에서 사용하는 표준 지표들이다. 의학에서 진료 효과와 예방 효과를 평가할 때 널리 사용되지만, 데일리벳 주소 수의학에서는 아직 널리 알려지지 않았다. 이러한 지표들은 효과의 “강도”와 “규모”를 이해하게 해주며, 논문을 읽을 때 데일리벳 주소적 의의를 더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증거기반데일리벳 주소이 태동하기 전에도 역학은 전염병뿐 아니라 심혈관질환, 암과 같은 만성질환을 대상으로 집단 수준의 발생, 분포,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를 통해 건강증진을 위한 해결책을 제시해왔다.

증거기반데일리벳 주소의 아버지로 불리는 캐나다 맥마스터 대학의 David Sackett 교수는 “질병의 원인(즉, 결정요인)만이 아니라 진료와 치료 효과도 과학적으로 평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1996년 BMJ에 발표된 Sackett 교수의 논문에서 “현재 이용 가능한 최선의 근거에 데일리벳 주소의의 전문성환자 가치관 및 선호를 더해 의사결정을 내리는 과정”이다 [1].

Sackett 교수의 가장 큰 기여는 집단 수준에서 인과추론을 하는 역학적 접근법을, 개별 환자의 진료와 치료 효과 평가에 본격적으로 도입한 것이었다. 이것이 증거기반데일리벳 주소의 출발점이 되었다 [1].

다만 ‘증거기반데일리벳 주소’이라는 이름은 종종 “기존의 데일리벳 주소 패러다임이 증거 없이 행해왔다“라는 식의 오해를 불러 일으켰다. 데일리벳 주소과 수데일리벳 주소에는 예전부터 경험과 연구에 기반한 증거가 존재해왔다. 증거기반데일리벳 주소이 강조한 것은 “증거가 있느냐 없느냐”가 아니라, 그 증거의 ‘질(수준)’과 ‘신뢰도’를 체계적으로 평가하자는 것이었다 [5]. 즉, 어떤 연구 결과를 단순히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그 연구의 설계, 분석 방법, 편향(bias)과 교란 변수(confounding)의 처리 수준을 꼼꼼히 평가해야 한다는 의미다.

이번 시리즈에서 살펴본 것처럼, 논문의 수치를 단순히 인용하는 것이 아니라 오즈비, 위험비, 절대 위험 감소, 치료 필요 수를 추가로 계산하고 연구 설계의 장점과 한계를 분석하는 과정이 바로 증거기반데일리벳 주소의 기초 접근법에 해당한다.

결국, 역학은 데일리벳 주소 수의사가 논문을 읽을 때 늘 고민하는 질문 — “무엇이 효과적인가?”, “그 효과는 얼마나 큰가?”, “이 연구 결과를 내 환자에게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 — 에 체계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답을 찾도록 돕는 도구이다. 이번 연구를 해석하는 과정은 그 연결고리를 잘 보여준다. 숫자를 이해하는 것은 곧 과학적 사고를 실천하는 첫걸음이다.

이번 연구의 결과는 기대에 미치기에는 아쉽지만, 반려동물과 인간 건강 사이의 연관성을 본격적으로 다룬 연구가 이루어졌다는 점은 매우 고무적이다. 이 연구를 예로 든 이유는, 치매 예방에 대한 결론을 내리기 위해서라기 보다는, 데일리벳 주소 수의사가 논문을 읽으면서 숫자의 의미와 연구의 한계를 함께 고민하며 데일리벳 주소적 의미를 해석하는 방식을 공유하려는 의도였다.

필자는 이러한 증거기반의학적 사고를 통해서 해당 치료법이 생각보다 효과가 떨어진다면, 그 치료법을 선택하지 말라는 것이 아니다. 보다 더 높은 해상도를 가지고 연구를 바라보자는 것이다. 수의사와 보호자의 선택에 따라 작은 희망이더라도 기대를 걸 수 있다. 하지만, 그 결정이 근거에 대한 충분한 이해 위에 서 있어야 한다고 말하고 싶다.

실제로, 과거 의료 분야에서도 잘못 설계된 연구가 편향과 교란변수로 인해 치료법을 효과적인 것처럼 보이게 만든 사례가 다수 있다 [2]. 여성호르몬 대체요법은 폐경 후 여성의 심혈관질환 예방과 삶의 질 개선을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초기 관찰연구와 3상 데일리벳 주소시험에서도 심혈관질환 예방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지만 [3], 이후 대규모 무작위 대조시험에서는 오히려 심혈관질환과 유방암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3]. 이에 따라 여성호르몬 대체요법의 사용은 크게 감소했으며, 현재는 개인의 건강 상태와 위험도를 고려해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2].

반려동물 분야에서도 연구 설계 미비로 ‘효과가 과장된’ 사례가 있다. 대표적 예가 골관절염에 쓰이는 글루코사민·콘드로이친 보충제다. 초기 소규모·비맹검 연구들은 통증 감소를 보고했지만, 2012년 체계적 문헌고찰은 “오메가-3를 제외한 모든 보충제의 근거 수준이 낮다” [4] 고 결론 내렸다. 이후 2023년 다기관 무작위-대조시험에서도 위약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보호자 설문 점수는 양군 모두 상승해 보호자 플라시보(caregiver placebo effect)와 자연 회복이 크게 작용했음을 시사했다 [5]. 즉, 글루코사민·콘드로이친 보충제의 데일리벳 주소적 효과를 뒷받침하는 근거는 현재까지 확보되지 않은 상태다.

이 사례는 ‘효과 유무’만 보는 것을 넘어 연구 설계·지표 선택·통계적 보정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보여준다. 결국, 데일리벳 주소에서 숫자를 해석할 때 증거의 질과 신뢰도를 함께 따져야 한다는 증거기반의학의 핵심 원칙이 수의학에서도 그대로 적용된다.

이번 글에서 소개한 오즈비, 위험비, 절대 위험 감소, 치료 필요 수, 그리고 교란 변수 같은 개념들은, 새로운 접근법이라기 보다는, 데일리벳 주소 수의사들이 이미 진료 현장에서 자연스럽게 고민하고 있는 문제들을 체계적으로 표현하는 도구라고 할 수 있다. 데일리벳 주소 경험과 증거기반의학 연구가 대립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를 보완하며 함께 사용되는 것이다.

증거기반데일리벳 주소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하고 싶은 독자라면 “증거기반데일리벳 주소의 철학” (제러미 하워드 지음, 전현우·천현득·황승식 옮김, 생각의힘 출판)을 참고해보는 것도 좋겠다. 이 책은 증거기반데일리벳 주소이 단순한 방법론을 넘어 어떤 접근법인지 잘 설명해준다.

한 독자는 이렇게 생각할 수 있다.

데일리벳 주소수의학 연구에서는 관찰연구보다 실험연구가 선호되다 보니, 편향이나 교란 변수 그리고 절대 위험 감소, 치료 필요 수 같은 지표를 알아야 할 필요는 아직 없지 않나?”.

그 생각에 일정 부분 동의한다. 데일리벳 주소수의학에선 여러 이유로 관찰자료를 이용한 증거기반수의학 연구는 활발히 수행되기 어렵다. 하지만 그러한 연구는 분명히 있어왔고 앞으로 더 많이 세상에 나올 준비를 하고 있다. 반려묘의 행동과 건강 요인을 연구하는 영국의 고양이 코호트 “Bristol Cats Study” [6], 노령 반려견의 인지기능 및 노화를 연구하는 프랑스 툴루즈 골든 리트리버 코호트 “GOLD Cohort” [7]가 그 예다. 이들 모두는 관찰연구를 목적으로 구축된 코호트다. 특히, 영국과 호주 등이 협력하는 VetCompass 같은 진료 정보를 활용한 반려동물 역학 연구는, 의학 분야의 증거기반의학과 방법론적 최전선을 공유할 만큼 발전해 있다 [8]. 따라서 증거기반수의학적 사고 능력은 먼 미래에 필요한 기술이 아니라, 이미 필요한 역량이다.

국내에서도 동물병원과 연계를 바탕으로 진료 정보를 활용한 반려동물 증거기반수의학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앞으로 데일리벳 주소 수의학에서도 논문을 읽을때, 효과가 있다/없다를 넘어서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 이 증거는 얼마나 신뢰할 수 있는지”를 따지는 접근법이 점점 더 중요해질 것이다.

앞으로 논문을 읽을 때, 우리가 함께 살펴본 증거기반데일리벳 주소적 사고의 관점에서 단순히 ‘데일리벳 주소가 있느냐 없느냐’를 넘어 어떤 요소들을 체계적으로 평가하고 고민해야 할지, 이 글을 통해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져보는 것은 어떨까?

참고로, 이번 시리즈에서는 교란변수를 선정할 때, 보정해야 하는데 보정하지 못한 변수들이 있었는지, 또는 반대로 보정하면 안 되는데 보정한 변수는 없었는지도 비판적으로 검토할 수 있었다. 또 결과변수와 교란변수의 시간적 변화를 반영하는 방법이나, 성향 점수를 활용한 가중치 방법 외에도 더 발전된 인과추론 방법들을 적용해서 서로 다른 분석 결과를 비교·제시하며 연구 결과의 견고함을 점검하는 접근(robustness check)도 고려할 수 있었다. 물론, 거기까지 파고들었다면 이 글은 ‘증거기반의학을 탐험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가 아니라 ‘역학 박사과정을 시작하는 대학원생을 위한 인과추론 소개’가 될 뻔했다. 그래서 이번에는 포함하지 않았다. 솔직히, 여기까지 따라와 주신 것만으로도 이미 깊은 탐험이었다고 믿는다.

이번 시리즈에서는 증거기반의학 접근의 기초에 해당하는 연구설계, 편향, 교란변수, 그리고 효과 유무와 크기를 중심으로 논의했다. 하지만 데일리벳 주소 현실에서는 이런 요소들만으로 결정을 내리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증거기반의학 사고법이 때로는 여유 있는 전문가들의 지적 훈련처럼 보일 수도 있다. 하지만, 데일리벳 주소 현실에 접목하는 순간, 데일리벳 주소 판단을 더 분명하게 해주는 실용적 접근법이 된다. 시간이 지나면서, 증거기반의학은 최선의 치료법 뿐만 아니라 보호자와 데일리벳 주소의의 가치 판단, 자원적 제약, 환자의 상태 같은 현실적인 요소들을 함께 고려하는 쪽으로 발전해 왔다.

최근의 증거기반데일리벳 주소은 무작위 대조시험(Randomized Controlled Trial)과 같은 통제된 연구뿐 아니라, 실제 진료 환경에서 얻은 데이터(Real-world data)를 근거로 활용하는 방식이 확대되고 있다 [9]. 환자마다 치료 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이질적 치료 효과(Heterogeneous Treatment Effect)를 고려하는 접근도 발전하고 있으며, 머신러닝, 딥러닝 기술은 이러한 분석과 맞춤형 치료 효과 예측을 더욱 빠르게 가능하게 하고 있다 [10].

의학과 수의학이 다르기 때문에, 그 길은 각 분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이러한 증거기반의학의 방향은 데일리벳 주소수의학과 증거기반수의학이 나아가야 할 길에 대한 중요한 힌트를 제공한다고 믿는다.

이번 시리즈에서는 효과 크기와 연구설계에 초점을 맞췄지만, 이러한 한계와 데일리벳 주소적 복잡성을 반영하며 발전해 온 증거기반의학의 진화된 접근법도, 기회가 된다면 다음에 따로 다뤄보겠다.

다만, 데일리벳 주소의학 분야에서도 현재의 증거기반의학 신념과 실제 실행 사이에는 여전히 불균형이 존재한다. 더욱 진화된 최신의 증거기반의학적 접근이 수의학계에서 본격적 학술 논의로 이어지기까지는, 솔직히 말해 먼 미래일지도 모른다. 그래서 나도 그걸 핑계 삼아 공부를 미루고 있는 중이라 글 쓸 기회가 있을지는 모르겠다.

어려운 내용을 끝까지 따라와 준 독자 여러분께 감사드린다. 덧붙여 말씀드리면, 이 글은 오롯이 혼자서 완성된 글이 아니다. 진료실과 연구실 안의 고민들을 나누어주며, 막연하고 거칠었던 구상을 가다듬어준 내 주변 모든 데일리벳 주소수의사들에게 감사하다고 표현하고 싶다. 코로나19가 유행하던 2020년 R0 기고문 마지막에 나는 ‘역학은 데일리벳 주소수의학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라고 언급했다. 이번 시리즈에서 그때 했던 말을 조금 더 구체적으로 다뤄보았다. 개인적으로도 큰 의미가 있었다. 앞으로 이런 증거기반의학적 접근법을 함께 고민하고 발전해 나가기를 기대한다.

마지막으로, 이 원고를 읽고 의견을 나눠주신 많은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특히, 구체적인 피드백을 전해주신 오태호 교수님(경북대 수의대), 황승식 교수님(서울대 보건대학원), 백연 수의사님(펫동물병원)께도 깊이 감사드립니다.

인용한 연구들은 증거기반데일리벳 주소 원칙에 따라 작성 시점의 최신 과학적 근거에 기반하며, 향후 연구 결과에 따라 결론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1. Sackett DL, Rosenberg WM, Gray JA, Haynes RB, Richardson WS.
Evidence based medicine: what it is and what it isn’t. BMJ. 1996 Jan 13;312(7023):71-2.

2. Greendale GA, Lee NP, Arriola ER. The menopause. Lancet. 1999;353(9152):571–580.

3. Writing Group for the Women’s Health Initiative Investigators. Risks and benefits of estrogen plus progestin in healthy postmenopausal women: principal results from the Women’s Health Initiativ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AMA. 2002;288(3):321–333.

4. Vandeweerd JM, Coisnon C, Clegg P, Cambier C, Pierson A, Hontoir F, Saegerman C, Gustin P, Buczinski S. Systematic review of efficacy of nutraceuticals to alleviate clinical signs of osteoarthritis. J Vet Intern Med. 2012 May-Jun;26(3):448-56. doi: 10.1111/j.1939-1676.2012.00901.x. Epub 2012 Mar 9. PMID: 22404506.

5. Kampa N, Kaenkangploo D, Jitpean S, Srithunyarat T, Seesupa S, Hoisang S, Yongvanit K, Kamlangchai P, Tuchpramuk P, Lascelles BDX.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glucosamine and chondroitin sulfate, marine based fatty acid compounds (PCSO-524 and EAB-277), and carprofen for the treatment of dogs with hip osteoarthritis: A prospective, block-randomized, double-blinded, placebo-controlled clinical trial. Front Vet Sci. 2023 Feb 1;10:1033188. doi: 10.3389/fvets.2023.1033188. Erratum in: Front Vet Sci. 2023 Aug 02;10:1252778. doi: 10.3389/fvets.2023.1252778. PMID: 36816197; PMCID: PMC9929184.

6. J K Murray, R A Casey, E Gale, C A T Buffington, C Roberts, R H Kinsman, T J Gruffydd-Jones, Cohort Profile: The ‘Bristol Cats Study’ (BCS)–a birth cohort of kittens owned by UK households, 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 Volume 46, Issue 6, December 2017, Pages 1749–1750e, https://doi.org/10.1093/ije/dyx066

7. Toulouse GOLD Cohort. ENVT. Available at: https://toulousegoldcohort.envt.fr. (Accessed May 2025).

8. VetCompass Programme. Royal Veterinary College. Available at: https://www.vetcompass.org/ (Accessed May 2025).

9. U.S. FDA. Framework for FDA’s Real-World Evidence Program. 2018.

10. Kent DM et al. Personalized evidence-based medicine: predictive approaches to heterogeneous treatment effects. BMJ 2018;363:k4245

데일리벳 주소

[증거기반의학]3편: 데일리벳 주소의학과 역학의 앙상블

Loading...
파일 업로드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