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제주에서 강아지 성병 ‘개 브루셀라증’ 확진, 대처 방법은?

올해만 제주, 서울에서 총 3마리 감염...방역당국에 신고 필수


1
데일리벳 커뮤니티
글자크기 설정
최대 작게
작게
보통
크게
최대 크게

브루셀라증은 법정 제2종 가축전염병이자 인수공통감염병이다. 흔히 소에서 발생하지만, 최근 서울 시내 동물병원에서 반려견의 ‘개 브루셀라증’ 감염 사례가 나와 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데일리벳 커뮤니티
개 브루셀라증 임상증상 및 위험성(@농림축산검역본부)

올해 제주, 서울에서 개 브루셀라증 3건 확진

안락사 권장되나, 반려견의 경우 항생제 치료 가능

흔히 ‘강아지 성병’으로 알려진 ‘개 브루셀라증’은 브루셀라균에 의해 감염되며 암컷데일리벳 커뮤니티 생식기 및 태막의 염증, 유산, 불임 등을 유발한다. 수컷의 경우 고환염, 부고환염, 고환위축이 발생할 수 있다.

평상시 특이한 임상증상이 없어서 감염 여부를 알기 어렵고, 한번 감염되면 평생 균을 보유하며 교미를 통해 브루셀라균을 전파한다.

올해 우리나라에서는 총 3건의 개 브루셀라증 감염(제주도 1건, 서울 2건)이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제주도에서 1건이 공식 발생했으며 해당 개체의 모견(서울 소재)을 검사한 결과 추가 양성이 확인됐다.

여기에 최근 서울 시내 동물병원에서 반려견 1마리가 개 브루셀라증 확진을 받았다.

서울시는 역학조사를 통해 해당 반려견의 판매업소(동물판매업)와 생산농장(동물생산업) 개체를 검사했다. 다행히 검사 결과는 전부 음성인 것으로 알려졌다.

브루셀라증은 가축전염병예방법에 따른 제2종 가축전염병이자,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른 제3급 감염병이다. 일선 동물병원에서는 의심증상이 있거나 검사 결과 양성이 나온 경우 방역당국에 신고해야 한다.

우선적으로 동물위생시험소 등 지자체 동물방역기관에 신고할 수 있으며, 서울시의 경우 동물보호과(02-2133-7652)로 연락할 수도 있다. 농림축산검역본부 가축질병신고번호(1588-4060, 9060)도 이용가능하다.

데일리벳 커뮤니티 양성 개체는 안락사가 권고된다. 브루셀라균이 세포내 기생세균으로 치료가 어렵고 재발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반려견의 경우 중성화수술을 한 뒤 항생제 치료를 시도할 수 있다. 동물생산업체와 달리 전파 위험성이 적기 때문이다.

양성 반려견은 테트라사이클린계 또는 엔로플록사신과 디하이드로스트렙토마이신계 항생제를 4~6주간 지속 복합 투여하고 2차 검사까지 한 뒤 모니터링하면서 관리한다.

보호자도 감염될 수 있는데, 보호자 증상 확인과 검사 여부는 부건부서데일리벳 커뮤니티 담당한다.

“개 데일리벳 커뮤니티 의무검사 고려해야”

한편, 이번 ‘개 브루셀라증’ 발생을 계기로 동물생산업, 동물판매업(경매장 포함)에서 ‘수의사에 의한 개 브루셀라증 검사 의무화를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 관계자는 “개 브루셀라증이 교미 시 생식기를 통해 주로 감염·전파된다. 동물생산업체에 브루셀라증이 감염되면 질병 확산을 겉잡을 수 없을 것”이라며 “(개 브루셀라증이) 광견병과 같은 인수공통감염병인 만큼, 생산·판매 과정에서 검사 의무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서울·제주에서 강아지 성병 ‘개 브루셀라증’ 확진, 대처 방법은?

Loading...
파일 업로드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