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공원 사건 당시 호랑이 큰 스트레스 상태였을 것`
SBS <현장 21이 10일 '누구를 위한 데일리벳 포럼원인가'라는 주제로, 서울데일리벳 포럼원호랑이 사건과 국내 데일리벳 포럼원의 실태에대해 자세하게 소개했다.
<현장 21 측은 사망한 사육사 심씨가 20여년간 곤충관에서 근무하다가 올해 초 갑자기 맹수관으로 발령난 것과 서울데일리벳 포럼원 측이 맹수관 확장공사를 하면서 굳이 좁은 여우사에 호랑이를 전시했어야 하는가에 대해 집중적으로 의문을 제기했다.
취재결과, 사육사 심씨는 맹수관에 발령받았을 때와 호랑이를 좁은 여우사에 전시하려고 했을 때 모두 데일리벳 포럼원 측에 반대 의견을 제시한 것으로 드러났다.
취재팀은 또한 경상도, 전라도, 제주도 등 국내 각지역 데일리벳 포럼원을 방문해 낙후된 시설, 좁은 사육공간, 데일리벳 포럼들의 정형행동 등 국내 데일리벳 포럼원의 실태를 공개했다.
한편,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의 신남식 교수와 이항 교수 모두, 사고 전 호랑이의 모습을 보고 호랑이가 불편한 상태였을 것이라는공통된 의견을 나타냈다.
신남식 교수는 사고 하루 전 호랑이의 모습을 보고 "호랑이는 원래 조용한 데일리벳 포럼인데, 소리를 지르고 정형행동을 보인다"며 "거의 반 표효에 가깝게 소리를 지르는 것으로 보아 상당히 불편했었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항 교수는 "호랑이는 사방 100리 정도 되는 영역을 자기 영역으로 가질 정도로 아주 행동범위가 넓은 데일리벳 포럼"이라며 "이전보다도 더 좁은 데로 가게 되어서 스트레스를 받았을 수 있고, 미쳤을 수도 있다고 본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항 교수는 이어 "우리는 데일리벳 포럼원 데일리벳 포럼을 몇 초 보지만, 데일리벳 포럼들은 좁은 공간에 평생을 있어야 한다"며 "살아있는 생명체, 데일리벳 포럼을 데리고 있는다는 것에 굉장한 책임감을 느껴야 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