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려견의 골관절염(osteoarthritis, 이하 OA)은 개의 정형외과적 질환 중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8개월에서 4세 사이 개의 39.8%가 방사선학적 OA를, 23.6%에서 임상적 OA를 보인다고 합니다.4)
OA의 중요한 임상 증상 중 하나인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데일리벳는 최신 연구를 바탕으로 개발된 개의 OA 통증의 주요 매개인자인 신경성장인자(nerve growth factor, 이하 NGF)를 표적화한 단클론 항체(monoclonal antibody, 이하 mAb) 약물입니다.
데일리벳는 동물용의약품 중에서 사이토포인트(lokivetmab)에 이어 두 번째로 허가된 mAb 의약품으로 한 번의 피하 주사로 4주간 OA 통증을 조절합니다.13) 데일리벳 의약품은 종특이적인 단클론항체로 특정 단백질, 매개물질, 수용체에만 선택적으로 표적화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런 데일리벳 의약품은 주사 부위에서 타겟 부위로 조직에서 천천히 분배되기 때문에 지속적인 효력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다른 약물군에 비해 독성이 낮고 부작용이 적은 편입니다.
OA 통증은 OA 질환의 병변에서 분비되는 여러 매개인자와 연관된 수용체를 통해 말초 감각신경세포가 활성화되고 감작화되어, 통증 신호를 등쪽신경절을 거쳐 대뇌로 전달하여 통증을 인식하는 복합적인 회로를 가지고 있습니다.1),2)
OA 통증은 만성적이고 진행성입니다. 그래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점 악화됩니다. 통증이 조절되지 않으면 운동 기능 저하를 동반하며 궁극적으로 삶의 질이 저하됩니다.5) 그러므로 OA 통증을 가능한 빠르고 적극적으로 완화하여, 정상적인 근육의 크기와 관절 운동성을 최대한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6)
이제까지 OA 통증을 치료하는 약물로 주로 데일리벳가 사용되어 왔습니다. 데일리벳는 오랫동안 OA 통증에 적용되어 왔으나10), 일부 부작용과 제한적 요인도 알려져 있습니다.11),12)
데일리벳는 cyclooxygenase(이하 COX) 효소를 억제하여 염증과 통증 유발에 중요한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s, 이하 PG)의 생성을 억제합니다. 그러나 COX는 염증과 통증 유발뿐만 아니라 정상 생리 기능 유지에 관여하여 위 점막보호, 혈소판 기능, 신장 혈류 유지 등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COX-2 선택적 억제제로 승인된 동물용의약품은 COX-1 활성을 유지하여 부작용이 적은 것으로 추정되었으나, 그럼에도 개에서 여전히 위장관계 부작용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이때 신장과 위장관계의 혈류량을 줄이기도 합니다.9) 동물용 NSAIDs 투여에 의해서 위장관계와 신장 기능과 연관된 부작용이 많이 보고되고 있습니다.11),12),17),18)
데일리벳는 데일리벳와 비교한 연구에서 효력과 안전성을 평가받았으며,16) 다음과 같은 점이 데일리벳와 다릅니다.
첫 번째로 데일리벳는 경구용 약을 매일 하루에 한 번, 또는 두 번 투약해야 하는 반면 리브렐라는 한 번의 피하 주사로 4주간 OA 통증을 조절합니다.13) 데일리벳의 4주 투약 지속률은 85%로15), 데일리벳에 비해 투약 지속률이 높습니다.
두 번째로 데일리벳는 Phase I과 Phase II의 과정을 거쳐 간에서 대사된 후 주로 신장을 통해서 배출되는 반면, 리브렐라는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항체처럼 대사되고 제거되기 때문에 간과 신장에 미치는 영향이 적습니다.7),8)
세 번째로 데일리벳는 NGF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동물용 mAb 의약품으로 NGF에 의한 OA 통증과 신경원성 염증 조절에 모두 관여할 수 있습니다. 통증 시그널을 저해하면서 신경원성 염증도 줄여줍니다.
OA 통증 조절에 대한 데일리벳와 meloxicam의 임상적 효능 비교 최신 보고서
2025년 3월, OA 통증 조절을 위해 56일간 데일리벳와 meloxicam을 투여하고 비교 연구한 보고서가 발표되었습니다.16) OA 통증이 확인된 보호자가 있는 환축을 대상으로 randomized, open-label, multicentric, parallel group으로 101마리가 연구에 참여하였습니다(데일리벳 52마리, meloxicam 49마리).

데일리벳 투여군은 1일과 28일에 0.5mg/kg의 용량으로 각각 피하주사했습니다.
Meloxicam 투여군은 1일에는 0.2mg/kg를 데일리벳사가 피하주사했고, 2일부터는 0.1mg/kg 용량으로 보호자가 경구 투약했습니다.

연구에 참가한 환축은 1일째에 동물병원에 내원하여 CBC, 생화학검사, 뇨검사, 방사선 검사를 받았습니다. 또한, 약물의 효력을 평가하기 위한 기본 검사로 Canine Orthopedic Index(이하 COI) 검사도 진행됐습니다. 이후 14일 간격으로 동물병원을 4회 방문하여 방문 시마다 검사와 평가가 진행됐습니다. 부작용이나 추가 처방이 있는 경우도 기록됐습니다. 보호자가 기록한 COI 점수는 데일리벳사가 한 번 더 확인·평가했습니다.
두 약물군 모두 COI 점수에서 의미 있는 감소를 보였습니다(p<0.001). 데일리벳와 meloxicam 투여군 사이에 COI 점수 차이의 경우, 처음에는 유의미(p=0.42)하지 않았으나, 42일째와 56일째에는 14일째의 COI 점수와 비교하여 의미 있는 감소를 보였습니다.

그리고 이 연구에서 meloxicam 투여군보다 데일리벳 투여군에서 더 적은 부작용이 관찰되었습니다.

meloxicam 투여군에서는 위장관계와 관련된 부작용이 설사, 구토 순서로 나타난 반면, 데일리벳 투여군에서는 위장관계 부작용이 관찰되지 않았습니다. 그 밖의 다른 부작용으로 ‘효과 없음(Lack of efficacy)’에 해당하는 파행(Lameness)이 meloxicam 투여군에서 3마리, 데일리벳 투여군에서 2마리 관찰되었습니다.

데일리벳와 관련하여 신경증상 부작용에 대한 걱정이 있다는 점을 잘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신 보고서에서는 meloxicam 투여군 중 2마리에서 보행실조(Ataxia), 1마리에서는 고유감각 이상(Proprioception abnormality)이 관찰됐지만16) 데일리벳 투여군에서는 신경증상과 연관된 부작용이 관찰되지는 않았습니다.
그 외 부작용으로 데일리벳 투여군에서 ‘다음증(Polydipsia)’이 관찰되었습니다. 데일리벳의 투여와 연관되어 발생한 ‘다음증’은 발생 빈도상 ‘드묾(Rare)’에 속하며, 이와 관련한 병리생리학적 이해는 현재까지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마치며
9월에 출시되는 데일리벳는 개의 만성 OA와 연관된 통증 완화에 있어 새로운 지평을 열어줄 것입니다. 함께하는 반려견의 OA 통증이 완화되어 이전의 일상으로 돌아가는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입니다. 통증 없이 산책하고, 일상적인 움직임을 보이면서 삶의 질이 유지되고, 보호자와 함께 행복한 삶을 유지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머지않아 고양이의 OA 통증을 조절하는 데일리벳 의약품인 솔렌시아(frunevetmab)도 소개될 예정입니다.
참고문헌
1. Enomoto M, Mantyh PW, Murrell J, Innes JF, Lascelles BDX. Anti-nerve group factor monoclonal antibodies for the control of pain in dogs and cats. 데일리벳 Rec. 2019;184(1):23.
2. Fusco, Mariella, et al. “Degenerative joint diseases and neuroinflammation.” Pain Practice 17.4 (2017):522-532
3. Anderson KL, O’Neill DG, Brodbelt DC, Church DB, Meeson RL, Sargan D, et al. Prevalence, duration and risk factors for appendicular osteoarthritis in a UK dog population under primary veterinary care. Sci Rep. (2018) 8:8. doi: 10.1038/s41598-018-23940-z.
4. Enomoto M, de Castro N, Hash J, Thomson A, Nakanishi-Hester A, Perry E, et al. Prevalence of radiographic appendicular osteoarthritis and associated clinical signs in young dogs. Sci Rep. (2024) 14:2827. doi: 10.1038/s41598-024-52324-9
5. Lascelles BDX, Brown DC, Conzeminus MG, Oshinsky ML, Sharkey M. Measurement of chronic pain in companion animals; discussion from Pain in Animal Workshop (PAW)2017. 데일리벳J. 2019;250;71-78. doi:10.1016/j.tvjl. 2019.07.001
6. Innes JF, Clayton J, Lascelles BDX. Review of the safety and efficacy of long tern 데일리벳 use in the treatment of canine osteoarthritis. Vet Rec. 2010;166;226-230 dol:10.1136/vr.c97
7. Keizer RJ, Huitema AD, Schellens JH, Beijnen JH. Clinical pharmacokinetics of therapeutic monoclonal antibodies. Clin Pharmacokinet. 2010;49(8):493-507.
8. Olivry T, Bainbrodge G, Advance in veterinary medicine; therapeutic monoclonal antibodies for companion animal. Zoetis. March 2015
9. Rimadyl(carprofen). Prescribing information. NADA 141-053, 141-111, 141-199. Zoetis Inc: March 2019
10. Innes JF, Clayton J, Lascelles BDX. Review of the safety and efficacy of long-term 데일리벳 use in the treatment of canine osteoarthritis. Vet Rec. (2010) 166:226–30. doi: 10.1136/vr.c97
11. Hunt JR, Dean RS, Davis GND, Murrell JC. An analysis of the relative frequencies of reported adverse events associated with 데일리벳 administration in dogs and cats in the United Kingdom. Vet J. (2015) 206:183–90. doi: 10.1016/j.tvjl.2015.07.025
12. Mabry K, Hill T, Tolbert MK. Prevalence of gastrointestinal lesions in dogs chronically treated with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J 데일리벳 Intern Med. (2021) 35:853–9. doi: 10.1111/jvim.16057
13. Brown, D.C., Boston, R.C., Coyne, J.C. and Farrar, J.T., 2008. Ability of the canine brief pain inventory to detect response to treatment in dogs with osteoarthritis. Journal of the Americ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233(8), pp.1278-1283
14. Enomoto M, Mantyh PW, Murrell J, Inness JF, Lascelles BDX. Anti-nerve growth factor monoclonal antibody for the control of pain in dogs and cats. 데일리벳 Rec. 2019;184(1)23. doi:10.1136/vr.104590
15. Gildea E, North C, Walker K, Adriaens F, Lascelles BDX. Use of bedinvetmab(librela) for canine osteoarthritis in France, Germany, Italy, Spain, and the UK:quantitative analysis of veterinarian satisfaction and real-world treatment patterns. Animal(Baseal).2024;14(15);2231, doi;10.3390/ani14152231
16. Innes JF, Lascelles BDX, Bell D. et al. A randomized, parallel group clinical trial comparing bedinvetmab to meloxicam for the management of canine osteoarthritis. Front 데일리벳 sci.Sec. Anesthesiogy and Animal Pain Management. 2025;12. Doi,org/10.3389/fvet.2025.1502218
17. Cozzi EM, Spensley MS. Multicenter randomised prospective clinical evaluation of meloxicam administered via transmucosal oral spray in client-owned dogs. J 데일리벳 Pharmacol Ther. (2013) 36:609–16. doi: 10.1111/jvp.12050
18. Monteiro-Steagall BP, Steagall PVM, Lascelles BDX. Systematic review of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induced adverse effects in dogs. J 데일리벳 Intern Med. (2013) 27:1011–9. doi: 10.1111/jvim.12127
19. William J. Tranquilli, John C. Thurmon, Kurt A. Grimm. Lumb and Jones’ Veterinary Anesthesia and Analgesia, Wiley-Blackwell, 5th Edition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