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데일리벳 베팅주(bedinvetmab) 입증된 안전성 : 한국조에티스 학술팀

데일리벳 베팅는 개 골관절염(osteoarthritis, OA)의 만성적 통증의 주요한 매개인자 중의 하나인 신경성장인자(nerve growth factor, NGF)에 선택적으로 작용하여 OA의 통증을 완화시키는7) 데일리벳 베팅용 단클론 항체(monoclonal antibody, mAb) 의약품입니다.
데일리벳 베팅는 한 번의 피하 주사로 4주 동안 OA 통증을 완화시킵니다.3) 즉, 동물병원에서 수의사의 처방에 의한 1회 피하 주사로 4주 동안 OA 통증을 완화할 수 있는 거죠.
데일리벳 베팅는 동물용 mAb 의약품으로 높은 특이성을 갖고 OA 통증과 연관된 특정 매개인자, 수용체를 중화합니다.8) 그리고 자연적으로 생성된 항체처럼 작용하고1), 이런 특성으로 체내에서 일반적인 단백질 분해 경로를 통해 대사 및 제거됩니다.
그래서 데일리벳 베팅는 간이나 신장에 부담이 적은 경로로 대사되기 때문에 약물이 해당 장기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적은 것이 특징입니다.1)
추가적으로 위장관계에도 최소한으로 영향을 미칩니다.1) 이런 이유로 간이나 신장 기능에 상대적인 부전 소인이 있거나 노령견이어도 OA 질환에 의한 통증 완화를 위해 선택할 수 있는 약물입니다.
또한, 다른 기저 질환들로 인해 복합적인 약물을 처방받고 있어서 신장이나 간에 영향을 최소한으로 주는 약물을 선택해야만 하는 경우에도 선택적으로 처방할 수 있습니다.
데일리벳 베팅는 분자량이 큰 당단백질입니다. 그래서 구조적으로 혈액-뇌 장벽(Brain-Blood-Barrier)과 같은 생물학적 장벽을 통과하지 못하므로6) 중추신경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데일리벳 베팅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non-steroidal inflammatory drug, NSAIDs)와는 다른 기전으로 작용합니다. OA 통증 완화를 위해 NGF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하죠. 그래서 NSAID와 달리 위장관계에 미치는 영향이 적습니다. 따라서, 위궤양이나 위장관계에 기저 질환이 있는 반려견이나 NSAID의 위장관계 부작용이 걱정되는 반려견에서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약물입니다.
미국과 유럽연합에서 진행된 2개의 임상 연구를 보면, 리브렐라 투여 후 전체적으로 긍정적인 안전성 프로파일을 보여주었습니다.4)
미국에서 진행된 임상연구에서는 부작용으로 비뇨기계 감염이 11.1%에서 관찰되었는데, 이 부작용은 위약 대조군의 8%에서도 관찰되었습니다.4)
유럽연합에서 진행된 임상 연구에서는 적은 수의 위장관계 부작용이 확인되었는데, 예를 들면 제한적인 구토가 관찰되었습니다. 리브렐라를 처방받은 실험군의 2.9%에서. 그리고 위약을 처방받은 대조군의 0.7%에서 제한적인 구토가 관찰되었으며, 이 연구에서는 실험군, 대조군 모두에서 설사는 관찰되지 않았습니다.4)


데일리벳 베팅를 NSAID와 동시에 처방한 연구에 따르면, 데일리벳 베팅와 NSAID 종류의 하나인 리마딜(carprofen)을 14일간 동시병용 처방했을 때 부정적인 부작용이 관찰되지 않았습니다.4)
데일리벳 베팅의 안전성 검사를 위해 실험실에서 실시한 과용량 투여 시험에서는, 데일리벳 베팅를 최고 권장 용량의 12배를 28일 간격으로 4회 연속 투여했을 때 경미한 주사 부위의 국소반응이 관찰되었습니다.4)
최근 일부에서 OA통증 완화를 위한 mAb 의약품과 관련하여 accelerated joint destruction, 즉 RPOA(Rapidly Progressive Osteoarthritis)에 대한 우려가 있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Zoetis는 현재까지 개에서 데일리벳 베팅와 RPOA 사이에 직접적이고 명확한 인과관계가 확인된 사례가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RPOA는 OA 통증 완화를 위한 인체용 mAb의약품의 임상시험에서 보고되었습니다. 관절 간격이 급격히 좁아지는 type1과 골 파괴를 동반하는 type2 형태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다만 RPOA의 병태생리학적 기전은 아직 완전히 규명되지 않았습니다.
2013년 발표된 인체용 mAb의약품 tanezumab의 임상시험에서는 tanezumab 5mg, 10mg, 20mg을 혈관주사로 8주 간격으로 투여했습니다.10) 총 1,347명이 참가한 194일과 202일의 long term 연구에서 총 9명에서 Total joint replacement가 필요한 것으로 관찰되었습니다.(10mg 투여군에서 7명, 20mg 투여군에서 2명)10)
2020년에 발표된 tanezumab의 3상 임상 연구에서는 2.5mg과 5mg을 피하 주사로 8주 간격으로 처방하였습니다. 2.5mg 투여군에서 약 1.4%, 5mg 투여군에서 약 2.8%의 환자에게서 RPOA 발생이 보고되었습니다. 8주 간격으로 3회 투여 후 24주 추적 관찰 과정에서 확인되었습니다.11)
그러나 개에서 허가된 용량인 0.5–1.0mg/kg 범위의 처방에서는 아직 이러한 위험과의 관련성이 확인되지 않았으며, 지금까지 보고된 사례 역시 극히 제한적입니다. 유럽에서 고령견을 대상으로 장기간 투여된 특수 사례가 있었으나, 이는 개별적 상황에 국한된 것으로 일반화하기 어렵습니다. 또한 반복 투여 횟수나 주사 간격이 RPOA 발생에 영향을 준다는 과학적 근거는 현재까지 확인되지 않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데일리벳 베팅와 관련하여 보고된 부작용 사례는 모두 ‘드묾’ 또는 ‘매우 드묾’의 빈도에 해당하며, 데일리벳 베팅와 RPOA 사이에 직접적 연관성이 입증된 바는 없습니다.
조에티스는 EMA와 FDA를 포함한 전 세계 규제기관과 긴밀히 협력하며, 글로벌 약물감시 시스템을 통해 최신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조에티스는 반려데일리벳 베팅 환자와 보호자, 그리고 수의사에게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투명한 소통을 이어 나갈 것입니다.
데일리벳 베팅에 관한 최신 보고서
2025년 4월에 데일리벳 베팅에 대한 최신 약물감시 보고서가 발표되었습니다. 이 보고서에 의하면 2021년 2월 1일부터 2024년 6월 30일까지 전 세계적으로 18,102,535 두수의 데일리벳 베팅가 처방되었고, 총 17,162건의 부작용 발생이 보고되었습니다(9.48 case/10,000 doses).3) 이것은 보고된 모든 부작용의 합계이며, 전 세계적으로 보고된 부작용의 증상별 발생률은 다음 표에 정리되어 있습니다.

이 보고서에 의하면, 가장 많이 보고된 부작용은 ‘효과 없음(Lack of efficacy)’으로 10,000건의 처방 당 1.70건이 보고되었습니다. 이 ‘효과 없음’에는 데일리벳 베팅의 효과가 생각보다 낮았거나 데일리벳 베팅의 약효 유지 기간이 짧았던 것도 포함된 수치입니다. 그리고 보고된 이 ‘효과 없음’의 부작용 수치의 거의 절반 정도가 주사 후 4주 이내의 보고였습니다. 그 외에 보고된 부작용은 다음, 보행 실조, 다뇨/빈뇨, 식욕부진, 기력저하 순이었습니다. 다음/다뇨/빈뇨의 비뇨기계 부작용 증상은 일시적이었거나 수일 또는 수주 내로의 제한적인 증상을 보였습니다.9)
보고된 모든 부작용은 ‘드묾’과 또는 ‘매우 드묾’의 빈도수에 속해 있습니다.

데일리벳 베팅와 다른 약물의 상호 작용
리브렐라의 임상 연구에서는 기생충 구제제, 항생제, 코르티코스테로이드가 포함되었거나 혹은 포함되지 않은 국소소독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항히스타민, 영양보조제 그리고 예방 백신을 포함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약물과 동시에 투여했을 때, 부정적인 상호 작용이 관찰되지 않았습니다.5)
백신과 동시에 투여하는 경우에는 백신의 면역원성에 대한 잠재적인 영향을 줄이기 위해 데일리벳 베팅와 백신을 각각 다른 부위에 주사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그리고 데일리벳 베팅도 주사 부위에 일시적인 열감이나 통증이 있는 경우가 있기도 해서 다른 부위에 주사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2)
데일리벳 베팅는 다음과 같은 처방 금지 사항을 가지고 있습니다. 데일리벳 베팅는 생후 12개월이 지난 성견이 적용 대상이기 때문에 12개월 이하의 개에 투여해서는 안 됩니다. 그리고 임신, 수유 중이거나 번식 예정의 개에서는 안전성 평가가 되지 않아, 안전성과 관련된 데이터가 없습니다.
마치며
데일리벳 베팅는 동물용 mAb 의약품으로 OA 통증의 주요 인자 중 하나인 NGF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며, 말초 감각신경세포 그리고 면역세포의 TrkA 수용체에 결합하여, 첫 번째 주사에서부터 반려견 OA 통증을 완화시킵니다. 그리고 첫 번째의 주사보다 두 번째 주사부터 데일리벳 베팅가 일정한 농도로 잘 유지되는 경과를 보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데일리벳 베팅 약효의 평가에는 최소한 2회의 주사를 권장하고 있습니다.
데일리벳 베팅는 동물용 mAb 의약품으로 자연적인 항체처럼 작용하여 약물의 대사에 간, 신장의 부담이 적습니다.12) 그래서 간 기능이나 신장 기능의 부전이 있는 데일리벳 베팅이나, 위장관계에 기존의 약물 처방 부담이 있는 데일리벳 베팅에게도 OA 통증 완화를 위한 처방으로 선택할 수 있는 의약품입니다.
통증 관리는 적극적이고 개별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이는 반려데일리벳 베팅의 삶의 질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통증을 완화하는 것은 아픈 동물에게 직접적인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그들을 돌보는 보호자에게도 꼭 필요한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1. Keizer RJ, Huitema AD, Schellens JH, Beijnen JH. Clinical pharmacokinetics of therapeutic monoclonal antibodies. Clin Pharmacokinet . 2010;49(8):493-507.
2. European Medicine Agency, Librela-Summary of Opinion, EMA/CVMP/438128/2020, 11, Sep. 2020
3. Monteiro BP, Simon A, Knesl O, Mondello K, Nederveid S, Otby NJ, et al. Global pharmacovigilance reporting of the first monoclonal antibody for osteoarthritis; a case study with bedinvetmab. Frontiers in Vet. Med. Med. 2025;(1)1-2
4. Freedom of Information Summary for the Original Approval of NADA 141-562 Librela™, 2023.
5. EU Pivotal FSE—C866C-XC-17-194
6. Wang J, Zhou X, Elazab ST, Huang J, Hsu WH. Current review of monoclonal antibody therapeutics in small animal medicine. Animals 2025, 15(4), 472; https://doi.org/10.3390/ani15040472
7. Epstein ME. Anti-nerve growth factor monoclonal antibody: a prospective new therapy for canine and feline osteoarthritis. Vet Rec. 2019;184(1):20-22.
8. Olivy T, Bainbridge G, Advances in veterinary medicine therapeutic monoclonal antibodies for companion animals. Clinician’s Brief. Published March 2015
9. Monteiro BP, Simon A, Knesl O, Mondello K, Nederveid S, Otby NJ, et al. Global pharmacovigilance reporting of the first monoclonal antibody for osteoarthritis; a case study with bedinvetmab. Frontiers in Vet. Med. 2025;(1)5-7
10. Kivitz AJ, Gimbel JS, Bramson C, et al. Efficacy and safety of tanezumab versus naproxen in the treatment of chronic low back pain. Pain. 2013;154:1009–1021. DOI: 10.1016/j.pain.2013.03.006.
11. Francis Berenbaum F, Blanco FJ, Guermazi A, Miki K, et al, Subcutaneous tanezumab for osteoarthritis of the hip or knee: efficacy and safety results from a 24-week randomised phase III study with a 24-week followup period, Clinical Drug Investigation, Jan. 2020
12. Keizer RJ, Huitema AD, Schellens JH, Beijnen JH. Clinical pharmacokinetics of therapeutic monoclonal antibodies. Clin Pharmacokinet. 2010;49(8):493-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