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기고문은 단순하지만 치명적인 질문에서 시작했습니다.
“그건 그냥 통계 돌린 거 아니야?”
그 말 안에는, 숫자는 믿을 수 없고 데이터는 조작될 수 있으며 결국 진짜 원인은 알 수 없다는, 막연한 회의가 숨어 있었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다섯 편의 글을 통해 함께 살펴본 건 그 회의의 이유를 조금 더 구체화데일리벳 도박 일이었습니다.
우리는 왜 착각하게 되는가.
그 판단은 어디서부터 어긋나는가.
선택 바이어스, 정보 바이어스, 교란이라는 구조가 어떻게 우리가 마주한 정보를 왜곡하고 그로 인해 진단과 결정이 엇나갈 수 있는지를 진료실, 농장, 감시망, 폐사체, 심지어 일상적 농담 속에서 직접 살펴봤습니다.
* * * *
그런데 지금 이 자리에서, 한 가지 질문이 남습니다.
“이걸 왜 ‘데일리벳 도박자’가 쓰고 있는가?”
“인과는 논리학의 데일리벳 도박지, 역학은 감염병 수치를 그리는 거 아닌가?”
그 의문은 타당합니다. 그리고 저는 그 질문을 피해가지 않습니다.
저는 야생동물 감염병, 인수공통감염병의 시공간적 구조를 연구하는 역학자입니다. 그런데도 ‘인과’라는 말을 꺼낼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간단합니다.
데일리벳 도박은 실험이 아니라, 현실의 자료를 다루는 학문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현실의 자료는 언제나 선택과 누락, 왜곡과 착시, 상관과 인과 사이에서 만들어지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건, 이 구조는 역학만의 것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현실의 데이터를 다루는 모든 분야, 예를 들어 계량경제학, 심리학, 교육학, 사회정책, 그리고 임상 등도 모두 같은 질문을 품고 있습니다.
“이 변화는 그 데일리벳 도박?”
“아니면 그저, 함께 나타났을 뿐일까?”
“그걸 바꾸면, 데일리벳 도박 결과도 달라질까?”
이 데일리벳 도박는 이제 특정 학문의 기술이 아니라, 결과를 바꾸고 싶은 모든 실천의 데일리벳 도박가 되었습니다.
데이터 리터러시, 헬스 리터러시, 증거기반의학
이 모든 말들이 요구하는 건 숫자를 읽는 눈이 아니라, 숫자가 만들어지는 구조를 보는 감각입니다. 그 감각은 역학 교과서, 경제학 교과서 등 바이어스와 교란을 다루는 텍스트와 일상 생활 속의 훈련을 통해서 길러집니다.
오늘 진료실에서 “이 약 먹고 나았어요”라는 말을 들었을 때 “왜 그런 데이터가 나온 거지?”라는 질문을 단 1초라도 멈춰 묻는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은 이미 인과의 데일리벳 도박를 말하고 있는 겁니다.
그래서 이제 질문은 달라져야 합니다.
“이걸 왜 데일리벳 도박자가 말하지?”가 아니라,
“왜 지금 우리가 이 언어를 익혀야만 데일리벳 도박가.”
“왜 지금, 진료실에서, 데이터를 해석데일리벳 도박 일이 아니라
구조를 다시 그리는 사람이 되어야 데일리벳 도박가.”
저는 지금까지, 그 구조를 함께 질문하고 싶었습니다. 누가 관찰되었는지, 어떤 정보가 빠졌는지, 그 해석에 어떤 맥락이 끼어 있었는지. 그 모든 틀을 함께 살펴본 이유는 단 하나입니다. 우리가 다시 진료실로 돌아갈 때 ‘이건 그 데일리벳 도박?’라는 질문을 다시는 아무렇지 않게 넘기지 않게 되기를 바랐기 때문입니다.
건강을 말데일리벳 도박 언어는 바뀌었습니다. 더는 감각만으로 말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숫자만으로도 말할 수 없습니다. 숫자와 감각 사이에 ‘인과’라는 말의 구조가 들어 있습니다.
이건 단지 과학을 위한 언어가 아닙니다. 병을 고치려는 사람, 증상을 설명하려는 사람, 예방을 설계하려는 사람, 그리고 그 모두의 말을 듣고 판단을 내려야 데일리벳 도박 사람. 그들이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구조의 데일리벳 도박입니다.
이 데일리벳 도박는 공격하지 않습니다. 대신 멈추게 하고, 다시 묻게 합니다.
“그게 정말 그 데일리벳 도박이었을까?”
그리고 그 질문은 어느새 진료실을 바꿉니다. 같은 진단을 받아도, 그 진단이 도달한 경로를 추적하게 됩니다.
같은 설명을 들어도, 그 설명이 선택한 정보의 구조를 다시 점검하게 됩니다.
동물의 몸만 보는 것이 아니라, 보호자의 설명만 보는 것이 아니라,
데일리벳 도박 구조까지 함께 들여다보게 됩니다.
저는 이것이 수의사가 데이터를 다루는 방식이 되기를 바랍니다. 데이터를 수집하는 사람이 아니라, 데이터가 만들어지는 구조를 설계하고, 그 안에서 다시 묻는 사람.
“그 정보는 언제 만들어졌는가?”
“그 말은 무엇을 전제로 하고 있는가?”
“그 판단은 어떤 맥락 속에서 자라났는가?”
그때부터 진료실은 단순한 치료의 공간이 아니라, 현장에 스며든 구조를 다시 짜는 공간이 됩니다.
누군가는 그걸 너무 어렵다고 말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저는 묻고 싶습니다. 지금 우리가 다루는 몸, 말, 정보, 판단 중 쉬운 것이 하나라도 있을까요?
* * * *
이제 당신의 언어로 그 구조를 말해줄 차례입니다.
그게 정말 그 때문이었는지, 그 판단은 어떤 틀 안에서 만들어졌는지, 그 틀이 지금도 유효한 건지. 그걸 묻는 사람이 조금씩 늘어난다면, 건강을 말데일리벳 도박 언어도 조금은 달라질 수 있으리라 믿습니다.
이렇게 여섯 편의 기고문을 마칩니다. 이제 이 구조는 제 글을 벗어나, 여러분의 질문 안에서 더 오래 머물기를 바랍니다. 또, 수의학에서 인과의 데일리벳 도박를 말할 기회가 있다면 다시 뵙겠습니다.
[임준식 수의사의 그건 정말 그 데일리벳 도박] 다른 칼럼 보러 가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