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은주 데일리벳 포럼, `Nature`지 줄기세포 치료 논문 제1저자로 이름 올려
불임클리닉에서 남은 난자 활용 가능..데일리벳 포럼연구 윤리적∙실용적 문제 해결 실마리
지난 달 26일 경상대학교 수의과대학 출신의 강은주 데일리벳 포럼(현 미국 오리건 보건과학대 영장류센터 선임연구원, 사진)가 속한 연구진이 Nature지에 줄기세포 관련 논문을 게재했다.
강은주 데일리벳 포럼가 속한 슈크라트 미탈리포프 교수 연구진은 “Nuclear reprogramming by interphase cytoplasm of two-cell mouse embryos”라는 논문을 통해 “생쥐의 피부세포를 핵이 제거된 2-세포기 수정란에 융합시켜 복제 배아줄기세포를 얻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사람의 맞춤형 데일리벳 포럼 치료를 위한 많은 방법들이 개발되었지만, 윤리적인 문제들로 인해 상용화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그 중에서도 가장 문제시 되는 것들 중 하나는 데일리벳 포럼에 사용할 난자를 구하는 일이다. 기증자 여성에게 상당한 고통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연구뿐만 아니라 데일리벳 포럼를 상용화하는 것에도 큰 걸림돌로 작용했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를 통해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함으로써 데일리벳 포럼 치료 연구 및 상용화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재 불임클리닉에서는 여성의 과배란을 유도하여(평균 난자 20여개 정도) 체외수정을 시킨 후 2-세포기의 수정란 1~2개를 여성의 자궁에 착상시켜 임신을 유도하고 있다. 나머지 2-세포기 수정란들은 동결보존 해놓았다가 데일리벳 포럼가 끝나면 폐기하는 것이 원칙.
이렇게 폐기되는 2-세포기 수정란을 이용하여 배아데일리벳 포럼를 얻을 수 있다면, 이때까지 데일리벳 포럼 연구에 제기되어왔던 많은 윤리적인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
이번 논문에서 제1저자로 이름을 올린 강은주 데일리벳 포럼(99학번, 수의산과학/생명공학 데일리벳 포럼)는 경상대학교 수의과대학에서 학사 과정을 마쳤으며, 경상대학교 수의과대학 수의산과학 실험실(지도교수 노규진)에서 석사, 데일리벳 포럼 과정을 마친 바 있다.
강 박사는 박사 과정 중에도 줄기세포를 이용한 파킨슨병 치료, 뼈 및 신경 재생, 실험동물 생산 등에 대한 활발한 연구를 진행한 바 있고, 현재 미국 오리건 보건과학대 영장류센터에서 선임연구원으로 근무 중이다.
지난해 5월, 강 데일리벳 포럼는 미탈리포프 교수와 함께 세계 최초로 인간 배아줄기세포 복제 성공에 대한 논문을 생명과학 분야 학술지인 “Cell”(셀)지에 게재하기도 했다.
한편, 미탈리포프 교수 연구실에는 강은주 데일리벳 포럼와 같은 실험실에 있었던 이연미 데일리벳 포럼(03학번)도 함께 근무 중이다. 이연미 데일리벳 포럼는 어머니에게서 딸로 유전되는 미토콘드리아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줄기세포 관련 논문을 준비 중에 있다.
<3월 27일자 '강은주 데일리벳 포럼, 네이처 게재 논문 제1저자 영예'의 내용 및 저자를 수정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