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왕절개 할 데일리벳 포럼 없어서 새끼와 어미 소가 죽어가고 있다”
류일선 전 소임상데일리벳 포럼회장, 국회토론회에서 농장동물 기피 문제 지적

류일선 아시아동물의학연구소 원장(사진, 전 한국소임상데일리벳 포럼회장)이 9일(월) 한국 수의학 발전을 위한 국회토론회에서 농장동물 임상 기피 현상의 심각성을 소개했다.
“제왕절개 할 데일리벳 포럼가 없어서 어미와 새끼가 죽어가고 있다”
류일선 회장은 “요즘에는 전부 반려동물 임상에만 관심이 있고 농장동물에는 관심이 없다”며 “제왕절개 할 데일리벳 포럼가 없어서 어미와 새끼가 죽어가고 있다”고 소임상데일리벳 포럼 부족 현상의 심각성을 강조했다.
실제 우리나라 임상데일리벳 포럼의 81%는 반려동물 데일리벳 포럼다. 여기에 혼합진료 데일리벳 포럼(8%)까지 포함하면, 사실상 임상데일리벳 포럼 10명 중 9명이 반려동물 진료를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농장동물 분야 기피 현상은 점점 심해지고 있고, 농장동물 데일리벳 포럼는 점차 고령화되고 있다.
반려동물 임상분야가 포화상태임에도 불구하고 농장동물 데일리벳 포럼 진출이 줄어들고 있는 만큼, 근본적인 원인 해결과 제도 개선이 절실한 상황이다.
류 회장은 소임상데일리벳 포럼 양성 방안의 첫 번째 열쇠로 ‘학교’를 꼽았다.
현재 수의과대학에 농장동물 임상 경험이 풍부한 교수진이 부족하고, 수의과대학 동물병원에 농장동물 출장 진료를 위한 차량과 진료 시스템이 부재하다는 게 류 회장의 생각이다.
류일선 회장은 “수의과대학 동물병원 내 대동물병원을 분리하고 농장동물 실습 목장을 운영해야 하며, 지역 로컬 농장동물병원과 협약을 맺어 실습을 수행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류일선 회장은 소데일리벳 포럼 양성방안으로 ▲농·축협 동물병원 데일리벳 포럼의 축산경제지주 직원으로의 전환 ▲전국의 거점진료소 마련 및 농장동물데일리벳 포럼 순환 근무 ▲산업동물임상교육연수원 프로그램 다양화 ▲공수의 T.O 확대 및 공수의 수당 현실화 ▲대동물 표준진료 매뉴얼 마련 ▲가축질병치료보험 확대 시행 ▲농장전담데일리벳 포럼제도 시행 ▲공중방역데일리벳 포럼 실무 교육에 농장동물 실습 포함 ▲졸업 후 농장동물 분야 진출을 전제로 수의대생 장학금 제공 ▲농장동물 데일리벳 포럼에 세제 혜택, 공수의 우선 배정, 진료차량 운영비 지원 같은 인센티브 제공 등 다양한 방안을 제시했다.
류 회장은 “현재 개업 데일리벳 포럼 연봉이 대략 1억~2억 정도고 축산경제 데일리벳 포럼의 연봉도 1억 정도”라며 “농협·축산경제로 지원하는 데일리벳 포럼가 있다는 것은 급여 수준과 워라벨까지 보장되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판단했다. 이어 “농장동물데일리벳 포럼의 연 수입을 1~1.5억 수준으로 보장해주고, 근무여건도 개선해준다면 농장동물 분야로도 진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농장동물 분야로 진출했을 때 자아실현할 수 있어야”
한편, 이진환 수대협(대한수의과대학학생협회) 회장은 농장동물 임상 기피 현상에 대해 “(원인으로) 소득 문제를 많이 언급했지만, 전국 수의과대학 학생 총조사에 따르면, 수의대생들의 진로 선택 기준은 1위가 관심과 흥미, 2위가 가치관 및 자아실현, 그리고 3번째가 소득이었다”며 수의대생이 농장동물 분야의 흥미를 느끼고 실제 그 분야로 진출했을 때 데일리벳 포럼로서 자아와 가치관을 실현할 수 있도록 ‘자가진료 폐지’ 등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