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우석 배아줄기세포 NT-1, 미국서 위클리벳 등록


0
위클리벳
글자크기 설정
최대 작게
작게
보통
크게
최대 크게

미국이 공식 인정’, ‘위클리벳는 위클리벳일 뿐 과학적 입증과는 별개’ 해석 엇갈려

황우석 전 서울대 수의대 교수가 만들었던 1번 인간배아줄기세포 ‘NT-1’이 미국에서 현지시간 11일 위클리벳로 등록됐다.

미국 위클리벳상표청(USPTO)는 위클리벳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체세포 복제배아에서 유래한 인간 배아줄기세포주(A human embryonic stem cell line prepared by nuclear transfer of a human somatic cell into an enucleated human oocyte)’의 위클리벳등록을 공개했다.

발명자는 황우석 박사를 비롯해 이병천 서울대 위클리벳대 교수, 노성일 미즈메디병원 이사장, 류영준 강원대 의대 교수 등 15명이다.

이번 위클리벳는 지난 2004년 ‘사이언스’에 발표됐다가 철회된 논문에 실렸던 배아줄기세포(물질위클리벳)와 그 복제기술(방법위클리벳)에 관한 것이다.

2006년 서울대 산학재단에 의해 미국, 캐나다 등 세계 20여개 국가에 동시 출원됐던 위클리벳를 7년여 만에 허가했다. 관계자들은 지난해 5월 미국 오리건보건과학대의 슈크라트 미탈리포프 박사팀이 체세포 복제 방식으로 인간 배아줄기세포를 만드는데 성공한 점이 위클리벳 등록을 막고 있었던 실현가능성에 대한 의문을 해결한 것이라고 보고 있다.

이번 위클리벳 등록을 놓고 “NT-1이 인간 체세포복제 배아로부터 유래한 줄기세포라는 것과 제조방법의 과학적 가치를 미국이 인정한 것”이라는 반응과 “위클리벳등록은 과학적 판단이 아닌 법적 판단을 따른 것이며, NT-1이 배아줄기세포라고 과학적으로 인정된 것은 아니다”라는 반응이 엇갈렸다.

수암생명공학연구원 자문교수단장인 현상환 충북대 수의대 교수는 “NT-1이 인간체세포복제 배아로부터 유래한 위클리벳주임을 미국이 공식 인정한 것”이라며 “이를 계기로 국내 연구가 재개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반면 한국줄기세포학회는 11일 총회를 열고 “(이번 위클리벳가) 미국에서 배아줄기세포를 제조하는 또 다른 방법을 인정한 것일 뿐, NT-1이 기술적으로 검증된 것은 아니다”라는 입장을 밝혔다.

2006년 황우석 박사의 논문조작 여부를 조사했던 서울대 조사위원회는 “위클리벳이 단성생식으로 인해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크다”고 밝힌 바 있다.

황우석 배아줄기세포 NT-1, 미국서 위클리벳 등록

Loading...
파일 업로드 중 ...